글로벌 경제 도전과제 콘퍼런스
문재인 정부의 경제목표로 ‘소득 주도 성장’이 제시된 가운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갈수록 심화되는 소득 격차의 확대가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연합뉴스

이주열(오른쪽)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경제 및 금융의 도전 과제’ 국제콘퍼런스에서 한 외국인 참가자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총재는 “최근 살아나기 시작한 성장 모멘텀(동력)이 오랫동안 지속되게 하려면 구조개혁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거시경제정책도 구조개혁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 존 윌리엄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올해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은 3~4차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윌리엄스 총재는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윌리엄스 총재는 “기본적으로 올해 금리 인상 횟수를 3번이라고 생각하지만, 잠재적인 경제의 상방 요인이나 재정부양책을 생각할 때 4번까지 가능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종적으로 미국의 정책금리는 2.75~3.00% 수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06-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