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금융완화 줄여나갈 여건 성숙돼간다”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강력히 시사함에 따라 이르면 연내 혹은 내년 초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한국은행은 19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렸지만 이일형 금통위원이 ‘0.25%포인트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발언하는 이주열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소수의견은 금리 조정을 예고하는 꽤 선명한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특히나 이 위원이 한은 추천 몫 금통위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주열 총재의 의중이 드러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게다가 이날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상향 조정했다.
7월 전망한 연 2.8%에서 0.2%포인트 올리며 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의 3% 성장 전망에 동참한 것이다.
한은은 이로써 올해만 세 차례 성장률을 올렸다. 이렇게 성장률을 높인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이래 7년 만이다.
내년 성장률도 2.9%로 잠재성장률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봤다.
한은의 경제 전망은 북한 리스크가 고조됐던 8월에 비해 상당히 호전됐다.
한은은 수출이 세계 경제 회복세 지속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내수도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상승률을 종전 1.9%에서 2.0%로 높여 잡으며 점차 목표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지만 존재감이 다소 약해졌다.
이주열 총재도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에서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성숙돼가고 있다”며 강도 높은 메시지를 던졌다.
6월에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며 금리 인상 ‘신호’를 준 이후 같은 기조를 유지해오다 이번엔 발언의 수위를 한층 높인 것이다.
이날 한은이 보낸 신호를 종합하면 기준금리 인상은 꽤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다음 달인 11월 30일 금통위에서 올릴 가능성도 있다.
12월로 예상되는 미국 금리 인상에 앞서 선제대응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면 한미 간 정책금리는 10년 만에 역전된다.
북한 리스크 등을 봐가며 내년 초로 시기를 잡을 수도 있다.
이 총재는 “경기와 물가 흐름이 기조적인지 판단을 하기 위해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기준금리를 정상화함으로써 그동안 막대한 규모로 풀린 유동성이 초래하는 부작용을 줄여나가고 향후 경기과열로 인한 인플레에도 대비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국제자본 흐름을 고려하면 주요국이 통화정책 정상화에 시동을 거는 데 우리도 발맞추지 않을 수 없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다만, 1천400조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부담이다. 소득이나 자산보다 빚이 많은 한계 차주들이 벼랑 끝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
수출 주도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체감경기는 그에 못 미치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한은은 9월 이후 모니터링에서 소비가 확대됐고 내수가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지만 청년 체감실업률이 고공행진을 하는 등 피부로 느껴지는 온도에는 차이가 있다.
내년 2월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임기 종료에 따라 정책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