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대차그룹이 전세계 5곳에 미래차 혁신 전진기지 세운다

현대차그룹이 전세계 5곳에 미래차 혁신 전진기지 세운다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8-01-08 10:46
업데이트 2018-01-08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이스라엘 이어…올해 5대 ‘개방형 혁신센터’ 구축

현대자동차그룹이 전 세계 5곳에 미래차 혁신을 위한 전진 기지인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센터’를 구축한다. 기존 미국과 이스라엘 센터 외에도 한국, 중국, 독일 등에서 ‘저인망’식으로 유망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을 끌어모은다는 방침이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이 빠른만큼 현지 벤처기업과의 긴밀한 협력과 협업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차그룹은 8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어 ?한국 ?이스라엘 텔아비브 ?중국 베이징 ?독일 베를린 등 총 5개 도시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 센터는 각기 도시에서 현지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동시에 이들과의 협업 및 공동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또 현지 대학, 전문 연구기관, 정부, 대기업 등과 긴밀한 교류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새 사업 기회를 모색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말 기존 실리콘밸리 사무소 ‘현대벤처스’의 위상과 기능을 확대 개편한 ‘현대 크래들’을 개소했다. 또 이스라엘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올해 초 설립할 계획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우선 현대차그룹은 올 상반기 중 우리나라에 신규 혁신 거점을 오픈 한다. 이어 연말까지 중국 베이징, 독일 베를린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가 새롭게 만든다. 베이징은 중국 최대 인터넷 업체 바이두(Baidu)가 2000년 스타트업으로 첫발을 내딛은 곳으로 유명하다. 베이징대와 인민대 등 유수의 대학들이 위치해 매년 뛰어난 인재들이 대거 유입될 뿐 아니라 소비층이 다양해 신생 스타트업들의 사업화 추진에 유리하다. ‘스타트업 아우토반’으로 불리는 베를린 역시 유럽 최대 스타트업 태동 도시다. 기회를 찾는 유럽 전역의 젊은이들이 창업을 위해 몰리고 있다.

존 서 상무(크래들 소장)는 “베이징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중국 특화 기술 확보와 현지 대형 ICT 기업들과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혁신 거점으로, 베를린은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솔루션 기반의 신사업 기회 확보를 위한 혁신 거점으로 각각 차별화해 육성할 계획”이라면서 “아시아-미국-유럽-중동 등 전 세계를 잇는 네트워크로 미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센터들의 운영 총괄은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가 맡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상반기 AI(인공지능),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봇, 헬스 캐어 등 미래 핵심 분야를 선도하고자 전략기술본부를 출범한 바 있다. 또 실리콘밸리는 크래들은 다른 혁신 네트워크와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원칙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핵심적 역할을 추가로 수행한다.

이미 크래들의 스타트업 발굴과 투자는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판단이다. 크래들은 2005년 설립된 인공지능, 음성인식 전문 기업 ‘사운드하운드’에 자동차 업체로는 유일하게 2011년 투자했고, 그 결과 현대차는 이달 중 국내 출시 예정인 신형 ‘벨로스터’에 국산차 최초로 사운드하운드의 음원 정보 검색 기능을 적용했다. 오는 2019년 출시될 신차에는 사운드하운드의 ‘대화형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까지 탑재된다. 서 소장은 “현재의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은 모두 대학생 창업자가 발전시킨 회사”라면서 “크래들과 대학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혁신 스타트업들이 미래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