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분석
코스피 소폭 상승… 시장은 담담“가계빚 대비 ‘실탄’ 확보해둬야”
한·미 기준금리가 10년 7개월 만에 역전됐지만 예상됐던 수순이라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 국내외 외국 자본이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는 미국으로 급격하게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하지만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의 시대가 저물어가면서,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상을 피하기는 어려워졌다.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가계부채의 부실화도 막아야 하는 정부의 어깨는 더 무거워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의 정책금리(연 1.5~1.75%)가 한국의 기준금리(연 1.5%)를 넘어섰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22일 국내 시장은 담담했다. 이날 코스피는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를 타고 전날보다 11.05포인트 오른 2496.02에 장을 마쳤다. 보통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채권금리가 오른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국고채 3년물 금리는 반대로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0.03% 포인트 떨어졌다. 다만 원·달러 환율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 우려가 높아지면서 0.4원 오른 1072.7원에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한·미 기준금리 역전에도 금융시장은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본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 보호무역 정책을 하고 있어 약(弱)달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북핵 문제가 악화되지 않는 한 국내에서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미국 경제의 양호한 성장세는 국내 경제에도 긍정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4차례 올려도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다. 6월 이후 한·미 금리 격차가 0.5% 포인트로 커지면 한국은행이 본격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박창균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국 경제가 미국만큼 회복하지 못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는 만큼 한국은행은 최대한 버틸 것”이라면서 “기본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시장에 하방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계부채 ‘폭탄’과 그로 인한 금융회사의 부실은 내년에 터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한두 차례 금리 인상으로 연체율이 갑자기 오르지는 않기 때문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가계부채가 밑단부터 부실화될 수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가계부채 부실에 대비해 구제를 위한 ‘실탄’을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03-2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