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량주 이전상장 없었다면 코스닥 지수 1,000 넘었을 것”

“우량주 이전상장 없었다면 코스닥 지수 1,000 넘었을 것”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5-30 09:32
업데이트 2018-05-30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 29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닥지수가 전 거래일(879.69)보다 9.61포인트(1.09%) 내린 870.08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2478.96)보다 21.71포인트(0.88%) 내린 2457.25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6원 오른 1076.8원에 거래를 마쳤다. 2018.5.29 뉴스1
지난 29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닥지수가 전 거래일(879.69)보다 9.61포인트(1.09%) 내린 870.08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2478.96)보다 21.71포인트(0.88%) 내린 2457.25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6원 오른 1076.8원에 거래를 마쳤다. 2018.5.29 뉴스1
코스피 시장으로 이미 둥지를 옮긴 셀트리온, 카카오, NAVER 등 우량주가 만약 이전 상장하지 않고 코스닥에 남아있었다면 코스닥 지수는 현재 1,000을 훌쩍 넘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0일 ‘코스닥 상장기업 이전상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스닥 우량주의 이전상장이 없었을 경우 코스닥 지수가 올해 4월 말 현재 1,161에 달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은 1996년 코스닥시장 출범 이후 코스피로 이전한 93개 상장사 가운데 2년 이상 코스닥시장에 머물렀던 48개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기업이 코스닥시장에서 현 수준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을 것으로 가정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김 위원은 “이전상장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머물렀을 때 동일한 주가 상승세를 보였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코스닥 지수의 부진은 대형 우량주의 이전상장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할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이전 상장한 기업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먼저 주가 상승률이 코스닥 지수나 코스피의 평균 상승률보다 높았다. 이전상장 전후 2년간(총 4년) 분석 대상 기업의 주가는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보다는 평균 111%, 코스피보다는 52% 초과 수익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전 상장기업은 모두 코스닥 시총 상위 20% 내에 있었으며, 분석 대상 가운데 21개는 코스피200에 편입되는 등 업종 대표성을 갖춘 기업이 다수였다고 김 위원은 분석했다.

김 위원은 이런 우량주들이 코스피 이전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가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에 대한 주목성과 평판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즉, 코스닥시장보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을 때 더 주목을 받고 좋은 평판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 때문에 이전상장을 결정했다는 뜻이다.

그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규제 수준과 거래 방식에 큰 차이는 없다”며 “(코스닥은) 개인투자자 중심의 투기적 시장‘이라는 부정적 평판이 이전상장을 부추기는 요인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코스닥시장의 상장 요건이 꾸준히 완화됐는데, 이는 신생·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부분적으로 코스닥시장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우량 상장기업의 이전상장 유인을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