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분석… “지급시기 조정 필요”
2일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17년 기준 43.8%로 OECD 회원국 평균(14.8%)보다 3배가량 높았다. 하위권인 멕시코(24.7%)와 터키(17%)에 비해서도 큰 격차를 보였다.
근로연령층의 빈곤율은 OECD 평균과 큰 차이가 없으나 40세 이후부터 점차 OECD 평균을 웃돌기 시작해 은퇴 시점이 집중된 51~65세의 빈곤율은 OECD 평균을 상당폭 상회한다고 장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이유는 사회복지제도, 연금제도 등 노후 대비를 위한 제도적 기반의 정비 속도가 급속한 고령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점이 근본 원인이라고 장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장 연구위원은 “사적연금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일정 연령층이나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득공제 확대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근로연령층의 경우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은퇴 후 급격한 소득 악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년 연장과 함께 국민연금의 지급 시기 조정을 단계적·점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20-01-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