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에 세계 금융시장 공포
코스피 4.2% 닛케이 5.1% 줄줄이 빠져환율 11.9원 껑충, 국고채 금리 첫 0%대
국제유가 한때 32%↓… 걸프전 이후 최대
뉴욕증시 7% 폭락… 서킷브레이커 발동
![9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4% 이상 폭락한 가운데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85.45포인트 떨어진 코스피 전광판을 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9/SSI_20200309180336_O2.jpg)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9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4% 이상 폭락한 가운데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85.45포인트 떨어진 코스피 전광판을 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9/SSI_20200309180336.jpg)
9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4% 이상 폭락한 가운데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85.45포인트 떨어진 코스피 전광판을 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날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4.19%(85.45포인트) 내린 1954.77, 코스닥지수는 4.38%(28.12포인트) 급락한 614.60으로 마감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에서만 1조 3125억원어치의 보유 주식을 팔아 치웠다. 거래소가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1999년 이후 최대 순매도다.
경기 부진 장기화 우려로 달러와 채권도 변동폭이 커졌다. 안전자산으로 시중 자금이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9원 뛴 1204.2원으로 거래를 마쳤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연 0.998%를 기록하면서 최초로 0%대 진입했다.
아시아 금융시장도 팬데믹 공포에 국제 유가 급락이라는 초대형 악재를 만나 동반 폭락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07%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도 3.01% 떨어졌다. 홍콩 항셍지수 역시 4.46% 급락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9/SSI_2020030920452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9/SSI_20200309204521.jpg)
원유 선물시장도 패닉에 빠졌다. 이날 오전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5월물 가격은 배럴당 31.5%나 폭락한 31.02달러까지 떨어졌다. 2016년 2월 12일 이후 4년여 만에 최저치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4월 인도분도 지난 6일(현지시간) 배럴당 10.1% 떨어진 41.2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 유가는 항후 배럴당 20달러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론이 제기됐다. 올 2분기와 3분기 브렌트유 가격이 최저 20달러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한 골드만삭스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의 석유 가격 전쟁이 시작됐다”고 봤다. 이어 “코로나19로 원유 수요가 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번 상황은 (미국 셰일산업을 겨냥했던) 2014년 가격 전쟁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3-1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