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0.3.10
연합뉴스
연합뉴스
홍 부총리는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마스크 5부제’ 시행 상황에 대해 이같이 진단하면서도 “다만 5부제를 해도 일부 지역은 조기 소진된 곳이 있고 일부는 다 소진이 안 된 곳이 있어서 소진된 곳은 별도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들쭉날쭉한 약국의 마스크 판매 시간을 일정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보완하겠다”고 말하며 “다만 몇몇 지역에선 지역 사정에 따라서 (정시가 아니라) 그냥 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있어서 지금도 검토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약국 대신 동주민센터를 통한 판매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홍 부총리는 “약국이 2만 3000개 정도인데 주민센터는 2000개가 안 돼서 더 제약되고 (사람이) 몰릴 수도 있어서 약국 보급 시스템으로 갔다”고 강조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