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 지갑 속 현금은? 평균 5만 3000원

지난해 한국인 지갑 속 현금은? 평균 5만 3000원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3-10 16:57
수정 2020-03-10 16: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은행, 2019년 지금수단 이용행태 조사 결과전 연령층에서 모바일뱅킹 사용자가 늘어나고, 신용카드에 대한 만족도는 현금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10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19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한은은 지난해 10~12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26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한은은 2014년부터 해마다 지급수단별 종합만족도 조사,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를 하고 있다.

신용카드 이용만족도 처음으로 현금 추월우선 편리성, 도난 위험성, 수수료 등을 모두 고려한 만족도에서는 신용카드가 80.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현금(79.5점), 체크·직불카드(76.5점) 순이었다. 신용카드 만족도가 현금을 앞선 것은 2014년 종합만족도 조사가 진행된 이후 처음이다. 그동안은 식당이나 소매점 등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한다는 이유로 “현금이 더 만족스럽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가장 선호하는 지급수단은 신용카드(57.6%), 현금(21.6%), 체크·직불카드(17.9%) 순이었다. 70대 이상은 현금을 가장 선호했고, 30∼60대는 신용카드를, 20대는 체크카드를 주로 사용했다. 설문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응답자들이 지갑 속에 보유한 현금은 평균 5만 30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7년 조사(8만원)보다 2만 7000원 정도 줄어든 액수다.

50대는 평균 7만 1000원을 보유해 지갑 속 현금이 가장 많았고, 20대는 2만 5000원으로 가장 적었다. 응답자들은 앞으로 현금 사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봤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38.5%가 현금 사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고, 59.2%는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전체 중 2.3%는 현금 사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했다.

모바일뱅킹 이용 경험, 응답자 절반 넘어아울러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에서 ‘최근 3개월 내 일반은행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이용한 적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절반(57.1%)이 넘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은 19.9%로 조사됐다. 일 년 전과 비교하면 일반은행은 0.4% 포인트, 인터넷전문은행은 6.4%포인트씩 상승했다.

선호도만 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더 선호한다고 보는 비중도 적지 않았다. 인터넷전문은행과 일반은행 모바일 뱅킹을 모두 사용하는 응답자(396명) 중 29.7%는 인터넷전문은행을 더 선호했다. 45.3%는 비슷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25.0%는 일반은행이 더 낫다고 답했다.

또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를 쓴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전체의 28.4%였다. 간편 결제서비스를 쓰지 않는 이유로는 ‘신뢰 부족’(32.8%)이 가장 많았고, ‘다른 서비스로 대체 가능함’(23.8%), ‘불편한 이용절차’(13.5%) 순이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