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25만·30대 11만명 ‘일자리 찾기’ 포기
청년층 취업 많은 숙박·음식업 타격 영향


13일 통계청 ‘8월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지난달 구직단념자 68만 2000명 중 20대는 24만 9000명, 30대는 11만명으로 파악됐다. 두 연령층에 52.6%(35만 9000명)가 집중돼 있는 것이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고 취업 의사나 일할 능력이 있지만 최근 4주 동안 일자리 찾기를 포기한 사람을 말한다. 연령대를 좀더 세분화해서 보면 한창 구직에 뛰어들 시기인 20대 후반(25~29세)과 30대 초반(30~34세)의 구직단념자가 22만명에 달했다.
청년층 구직단념자가 많은 이유는 이들의 취업이 많은 대면서비스 업종이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수는 올 1월부터 8개월 연속 지난해 같은 달 대비 감소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은 대면 의존도가 높은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임시직에 취업을 많이 하는데, (이 직종이) 코로나19로 많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2030 청년층이 구직을 단념한 이유로는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 조건에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가 11만 9000명(33.1%)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과 기술, 경험이 부족해서’는 8만 3000명(23.1%),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어서’라는 답변은 7만 7000명(21.4%)으로 조사됐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0-09-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