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업체 연일 잡음… 옥석 가려지는 과정”

“P2P업체 연일 잡음… 옥석 가려지는 과정”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9-17 21:02
수정 2020-09-18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

‘업계 1위’ 피플펀드 김대윤 대표

“사기·횡령 등 각종 사고에 불신 높아져
제도권 금융 걸맞은 내부통제 갖춰야”
이미지 확대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
“기형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개인 간 거래’(P2P) 시장이 법 시행으로 옥석이 가려지는 과정입니다.”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는 17일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온투법) 시행으로 P2P도 제도권 금융업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잡음을 놓고 이렇게 말했다. 업계가 그동안 곪아 있었던 만큼 고름을 짜내는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다는 얘기다.

김 대표는 지난 2월까지 2대 핀테크산업협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업계를 대표해 목소리를 냈다. 김 대표가 운영하는 피플펀드는 올 상반기 기준 대출 취급액 2413억원으로 대출잔액 기준 업계 1위다. 온투법 시행으로 P2P는 정식 금융업으로 편입됐지만, 등록을 앞두고 사기·횡령 사건이 터진 데다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업계 전체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1차 전수조사에서는 전체 237곳 중 78곳만 적정 의견의 회계감사보고서를 제출했다. 폐업하거나 부실 업체로 분류돼 퇴출당할 가능성이 큰 곳이 3분의2에 달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2017년에는 P2P 인터넷 사이트를 간편 제작해 주는 업체가 생길 정도로 P2P 창업 붐이 일었다”며 “기술 인력이나 자체 신용평가 모델을 갖추지 않은 업체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고 설명했다. 이후 많은 P2P 업체들이 투자자 모집에만 혈안이 돼 20%에 육박하는 수익률과 현금성 리워드를 제시하면서 2~3개월 단위의 단기 투자상품을 내놨다.

P2P 업체는 투자자와 돈이 필요한 사람을 연결해 주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투자를 받은 쪽이 부실해지면 원금과 이자를 못 받는 구조다. 하지만 높은 수익률을 미끼로 투자자를 모으다 보니 연체가 쌓이면 신규 투자금을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으로 지급하는 이른바 ‘돌려막기’가 발생했다. 2017년 5%대였던 P2P 업계 평균 연체율은 최근 16%까지 올랐다. 김 대표는 “연체나 부실은 P2P 업체의 평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모면하기 위한 도덕적 해이가 생길 수 있다. 이런 문제가 있었던 업체들이 법제화 과정에서 수면 위로 올라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개인 신용대출 중금리 시장에서 P2P가 자리잡기 위한 조건으로 독자적인 신용평가 모형 구축, 기관투자자의 참여를 꼽았다. 온라인으로 투자자나 대출 고객을 모집할 수 있는 것만으로는 경쟁력이 없다는 얘기다. 그는 “정식 등록 절차를 통과한 업체들을 중심으로 제도권 금융에 걸맞은 내부통제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9-1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