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 몰린 자영업자들… 41% “폐업 고려”

한계 몰린 자영업자들… 41% “폐업 고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1-16 22:22
수정 2022-01-17 0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 감소·대출상환 부담 등 이유
4명 중 1명은 “대안 없어 버틴다”

코로나19 사태가 3년차에 접어들며 자영업자들의 ‘버티기’도 한계에 부딪혔다. 골목상권 자영업자 10명 중 4명은 현재 폐업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6일 밝혔다.

전경련이 음식점업, 도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등을 꾸려 가는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을 조사한 결과 자영업자 40.8%가 폐업을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9월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보다 1.4% 포인트 오른 수치다.

자영업자들이 폐업을 결심한 가장 큰 이유는 매출·순이익 등 영업실적 감소(28.2%) 때문이었다.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7.8%), 임차료·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17.5%), 경기 회복 가능성 낮음(16.7%) 때문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폐업을 고려하지 않는 자영업자들은 가장 큰 이유로 ‘특별한 대안이 없기 때문’(23.8%)이라고 꼽았다.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올해 매출과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더 줄어드는 등 영업난이 더 깊어질 거란 비관적 인식이 강화되는 모습이 뚜렷했다. 자영업자의 65.4%%는 올해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봤고, 63.6%는 올해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거라고 예상했다. 평균적으로 올해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지난해보다 9.4%, 8.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연초에는 설 명절, 졸업, 입학 등 대목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데 올해는 코로나19와 거리두기가 길어지며 자영업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소비심리 개선과 손실 보상은 물론 금리 인상기를 앞두고 자영업자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2-01-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