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도 중진공 이사장 간담회
기업 보유 매출채권 현금화 등
중소벤처 3대 신규 사업 발표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
먼저 중소벤처기업의 신사업 전환, 디지털 전환, 좌초 위기 산업군의 노동 전환을 일괄 지원하는 구조혁신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김 이사장은 “800개 기업의 구조혁신 대응 수준 진단을 돕고 1100개 기업에는 사업·디지털·노동 전환 컨설팅을 제공하겠다”며 “사업전환자금 등 맞춤형 정책을 연계 지원하고, 체계적 사업 추진을 위해 기존 33개 사업전환 지원센터 중 10곳을 구조혁신지원센터로 개편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 생태계 조성을 강화하기 위해 600개 기업을 상대로 탄소중립 수준 진단을 지원하고 보조금과 융자, 인센티브 등 다양한 정책수단도 연계 지원한다. 김 이사장은 “탄소중립 자금을 지난해 200억원에서 올해 1200억원으로 확대했고 탄소중립 경영혁신 바우처 규모도 172억원으로 늘렸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비대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자가진단을 통해 1만 5000여곳에 솔루션을 제시하고 ESG 인식 개선 체크리스트, 경영안내서 등 콘텐츠도 보급할 계획”이라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매출채권을 중진공이 인수해 조기 현금화해 주고 구매 기업에 상환을 청구하는 ‘매출채권 팩토링’ 사업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22-01-2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