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증가로 이자 이익 확대 영향
은행 외 다른 계열사 이익도 증가
KB금융, 기말 배당금은 2190원
KB금융그룹. 연합뉴스
KB금융은 지난해 4조 409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8일 공시했다. 2008년 KB금융그룹이 출범한 이후 역대 최대 연간 순이익이다. 1년 전인 2020년(3조 4554억원)과 비교해도 27.6%나 많다. KB금융지주 관계자는 “견조한 여신성장과 국내외 인수합병 영향으로 이자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수수료이익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분기별로 보면 4분기 순이익이 6372억원으로 1~3분기보다 크게 줄었다. 이는 1조 1650억원의 순이익에서 희망퇴직비용, 코로나19 관련 대손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빠져나간 영향이라는 게 KB금융의 설명이다.
지난해 KB금융 전체의 순이자이익은 11조 2296억원으로, 1년 전(9조 7223억원)보다 15.5% 증가했고, 순수수료이익(3조 6256억원)도 22.5% 늘었다.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순이익은 2조 5908억원으로 같은기간 12.7% 증가했다.
은행의 이익 증가는 전체 대출액이 319조원으로 2020년(295조원)보다 7.9%나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이자 이익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은행의 순이자이익은 2020년 6조 7550억원에서 지난해 7조 7290억원으로 1조원 넘게 늘었다. 순이자마진(NIM)은 같은기간 1.51%에서 1.58%로 증가했다.
다만 KB금융은 은행 외에도 KB증권의 순이익(5943억원)이 39.6% 증가했고, KB손해보험(3018억원)은 84.1%, KB국민카드(4189억원)도 29.0% 순이익이 증가하면서 그룹 전체의 이익을 늘렸다. 2020년 금융그룹 전체 순이익의 66.5%를 차지했던 은행의 비중은 지난해 57.4%로 줄었다.
KB금융은 배당성향을 26%로 결정해 코로나19 확산 이전으로 회복했다. 이에 따라 주당 배당금은 66% 정도 늘어난 2940원으로 결정됐다. 지난해 8월 지급된 중간 배당금(750원)을 감안하면 기말 배당금으로는 2190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KB금융은 또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다”고 밝혔다.
KB금융에 이어 9일에는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 10일에는 하나금융지주가 4분기·연간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KB금융이 순이익 4조원을 넘긴 가운데 3분기에 이어 리딩금융그룹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지난해 신한금융의 순이익을 4조 2850억원, 하나금융은 3조 3529억원, 우리금융은 2조 7011억으로 추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