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름 ‘만땅’ 채우면 용산-강북구 ‘2만 2000원’ 차이

기름 ‘만땅’ 채우면 용산-강북구 ‘2만 2000원’ 차이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2-02-21 17:02
업데이트 2022-02-21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운고조로 국내외 기름값 상승세
서울신문, 서울시 자치구 주간 평균 휘발유 평균가 분석
1위 용산구 리터당 2132.12원...최저 강북구는 8만원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운 고조로 국제 유가와 함께 국내 기름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남동, 청파동 등 서울 용산구 지역의 주유소 주간 평균 기름값(보통 휘발유 기준)이 서울 시내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 번 주유 시 탱크를 ‘가득’ 채운다고 가정했을 때, 강북구에서 8만 4673원(아반떼 50ℓ 기준)을 내야 한다면 용산구에선 10만 6606원을 지불해야 한다. 구(區)별 가격 차가 최대 2만 1933원이나 차이나는 것이다. 땅값 비싸기로 유명한 강남구는 9만 5814원으로, ‘최저’ 강북구보다 1만 1141원 더 많았다. 용산구의 중구의 경우 주유소가 적고 임대료가 비싼 오피스 빌딩이 밀집돼 있는 만큼 기름값이 높게 형성돼 있어서다.

21일 서울신문이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월 셋째주(2022년 2월 13일~19일)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주유소 주간 평균 판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1위는 용산구로 리터당 2132.12원이었다. 2위는 중구(2079.22원), 3위는 종로구(2000.84원)였다. 강남구는 ‘의외로’ 4위(1916.28원)였다. 5·6위는 서초, 성동구였다. 모두 서울시 자치구 주간 평균 휘발유값 ‘1785.71’원보다 비쌌다.

가장 싼 곳은 강북구로, 리터당 1693.46원이었다. 1위인 용산구와 견줘 보면 리터당 무려 438.66원이나 벌어졌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구별 기름값 차이에 대해 “임대료 외에 주유소 경쟁도도 봐야 한다”면서 “용산구와 중구는 땅값이나 월세 자체가 비싸기도 하지만 주유소가 별로 없고, 주로 기름을 넣는 고객층이 관용차 등 법인이다 보니 굳이 싼 주유소를 찾지 않고 서비스나 사은품, 캐시백 등 혜택이 많은 곳으로 몰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돼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강남구, 서초구 등은 비싼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주유소가 많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용산 등보다 상대적으로 기름값이 낮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휘발유 평균 가격이 21일 14주만에 리터당 1800원을 넘어선 가운데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주유소 유가정보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휘발유 평균 가격이 21일 14주만에 리터당 1800원을 넘어선 가운데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주유소 유가정보 모습.
연합뉴스


정유업계 관계자는 “기름값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엔 인건비도 있다”면서 “최근 강남구에 셀프 주유소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것도 강남 지역이 기름값 1위가 아닌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오피넷에 등록된 용산구 내 주유소는 현재 13곳, 강남구는 33곳으로 3배가량 차이가 나는데 강남구는 이중 약 40%(13곳)가 가격이 다소 저렴한 셀프 주유소이고, 용산구에는 단 한 곳도 없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러시아가 세계 석유 수출의 약 11%를 차지하는 주요 원유 생산국인 만큼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행할 경우 전 세계가 에너지 대란에 휩싸이며 국제유가가 최대 배럴당 15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글로벌 지정학적 변수로 서울지역 평균 휘발유 가격은 21일 리터당 1801.57원을 기록했다. 서울 휘발유 가격이 1800원대를 기록한 것은 유류세 인하 조치가 시행된 지난해 11월 12일 이후 14주 만이다. 때문에 정부는 ‘약발’ 떨어진 유류세 인하 연장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유가 상승은 기업의 경영변수는 물론 서민경제에도 큰 부담이라 예의주시해야 할 사안”이라면서 “국제유가가 국내 기름값에 반영되기까지는 2~3주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 기름값은 앞으로도 추가적으로 몇주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백민경·오경진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