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 유동성’,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괴리 더 확대…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

‘코로나 유동성’,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괴리 더 확대…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3-09 15:29
업데이트 2022-03-09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이후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괴리 현상이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파티가 지속되면서 실물 경제 성장 대비 가계 빚이 대폭 늘어난 결과다.

9일 한국은행의 ‘최근 우리나라 금융 사이클의 상황 및 특징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뚜렷해진 금융 사이클과 실물 사이클 간 비동조화 경향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화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 동조화 지수는 1990~1999년 0.74에서 2000~2008년 0.69로 감소한 데 이어 2009~2021년 3분기 0.49로 줄었다.

금융시장과 실물결제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빚) 비율은 코로나19 기간인 2019년 4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 26.5% 포인트 높아졌다. 외환위기(1997년 2분기~1999년 1분기) 13.4% 포인트, 신용카드 사태(2001년 1분기~2002년 4분기) 8.9% 포인트, 글로벌 금융위기(2007년 4분기~2009년 3분기) 21.6% 포인트 등 과거 경제위기 때보다 훨씬 높았다. 한은은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괴리는 유동성 상황, 자산 가격 변화 등에 주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GDP 등 실물경제 성장보다 자산투자를 위한 가계·기업 신용이 더 크게 확대돼 금융 불균형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는 의미다.

과거 평균 대비 신용 증가가 심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실질신용갭률’도 코로나19 이후 단기간 내 빠르게 확대했다. 일부 산출방식에 따라서는 2021년 3분기 말 실질신용갭률은 5.1%로 신용카드 사태(2002년 4분기) 3.4%,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4분기) 4.9%를 웃돌았다.

금융 사이클과 주택 가격 사이클의 동조 경향은 더욱 강해졌다. 가계신용과 주택가격 갭 분석 결과 과거(2005년 전후) 주택 가격 급등기와 마찬가지로 최근 두 사이클 모두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실물경기 위축을 막기 위한 금융지원·완화조치 등이 시중 유동성 확대와 더불어 가계·기업 부채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특히 주택 가격 움직임이 금융 사이클 진폭을 확대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이후 빠른 확장세를 보여온 금융 사이클의 주기와 진폭의 향후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승훈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