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간소비 선방에도… 버팀목 수출 둔화 땐 하반기 ‘R의 공포’ 우려

민간소비 선방에도… 버팀목 수출 둔화 땐 하반기 ‘R의 공포’ 우려

홍인기 기자
홍인기,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7-26 22:06
업데이트 2022-07-27 08: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2분기 ‘0.7% 성장’ 발표

서비스업 중심 소비 3.0% 증가
설비투자 줄고 수출 3.1% 감소
경기침체 우려 갈수록 현실화

IMF, 주요국 성장률 전망 하향
美 2.3%, 中 3.3%로 대폭 낮춰

이미지 확대
잔뜩 쌓인 컨테이너
잔뜩 쌓인 컨테이너 글로벌 교역 둔화로 수출이 꺾이면서 경기침체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26일 부산 남구 용당부두에 컨테이너가 잔뜩 쌓여 있다.
부산 뉴스1
올 2분기(4~6월) 우리 경제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에 따라 시행됐던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로 민간소비가 살아난 영향이 크다. 이러한 ‘깜짝 실적’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경제 전망이 밝지 않은 것은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아서다. 반짝 살아났던 민간소비는 치솟는 물가와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다시 쪼그라들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수출도 2분기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하반기에는 수출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온다. 소비와 투자가 줄고 수출마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발목을 잡히게 되면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S(스태그플레이션)의 공포’, 경기 후퇴를 의미하는 ‘R(리세션)의 공포’가 현실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 뒤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역성장한 우리 경제는 2020년 3분기 이후 올 2분기까지 8분기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2분기에는 민간소비가 3.0%나 증가하면서 경제성장을 이끌었다.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그동안 움츠러들었던 소비가 살아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1.1% 늘었고, 건설투자도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설비투자(-1.0%)가 뒷걸음쳤고, 화학제품·1차 금속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은 3.1%나 감소했다.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것은 지난해 2분기(-0.7%) 이후 1년 만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타격과 국제유가 급등 등의 여파가 2분기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데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중국의 지역 봉쇄 등으로 글로벌 경제가 전반적으로 흔들린 영향이다.

수출을 비롯해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 하반기 전망은 밝지 않다. 이날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수정 세계경제전망을 보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당초 2.5%에서 2.3%로 낮아졌다. 지난 4월 3.0%에서 2.5%로 내린 이후 연이은 하향 조정이다. 내년 성장률은 2.9%에서 2.1%로 0.8% 포인트나 낮아졌다. 내년은 경기 둔화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IMF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3.7%→2.3%), 중국(4.4%→3.3%)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성장률 전망치도 낮추면서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6%에서 3.2%로 하향 조정했다.

2분기 깜짝 성장으로 산술적으로는 남은 3분기와 4분기에 0.3%씩 성장하면 우리 경제는 한은이 전망한 올해 성장률(2.7%)을 달성할 수 있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심리가 악화하고 있어 하반기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우리 경제는 높은 물가 오름세, 주요국 성장세 둔화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고, 수출을 둘러싼 대외 여건 불확실성도 여전히 높다”고 말했다.

서울 홍인기 기자
세종 이영준 기자
2022-07-27 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