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국제공항 국내선 출발장 앞의 모습.
코로나19 엔데믹(풍토화)속 거리두기 해제와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얼어붙었던 소비가 풀린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에서 분석한 올해 3분기 제주도 소비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 소비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2.1%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외국인 관광객의 업종별 카드 소비금액 비중은 숙박여행(63.6%), F&B(11.8%), 오프라인유통(10.6%) 순으로 나타났으며, 숙박여행업 중에서는 특급호텔(22.8%)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관광객의 지역별 카드 소비금액 비중은 예래동(19.3%), 안덕면(11.8%), 연동(8.3%) 순으로, 제주시보다 서귀포시에서의 소비금액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관광객은 코로나19 여파로 끊겼던 제주기점 국제선이 재개됨에 따라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0% 늘어난 2만 1601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내국인 관광객 소비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6% 증가했다.
내국인 관광객의 업종별 카드 소비금액 비중은 F&B(33.9%), 오프라인유통(29.3%), 숙박여행(18.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내국인 관광객의 연령대별 카드 소비금액 비중은 40대(31.3%), 30대(26.3%), 50대(17.8%), 20대(14.7%), 60대 이상(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60대 이상(+48.3%)과 50대(+37.6%)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며 가족 단위 방문객, 소규모 단체 관광객, 그룹패키지 등 단체관광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내국인 관광객의 지역별 카드 소비금액 비중은 노형동(17.4%), 안덕면(9.9%), 예래동(7.3%) 순으로, 외국인과 달리 서귀포시보다 제주시에서의 소비금액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올해 3분기는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가 완화되고 하늘길이 속속 열리면서 외국인 관광객의 회복세가 돋보였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