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80만’ 플랫폼 노동시대… 60%가 “주업”

‘80만’ 플랫폼 노동시대… 60%가 “주업”

옥성구 기자
옥성구, 이현정, 이영준 기자
입력 2022-12-27 18:02
업데이트 2022-12-28 18: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이후 달라졌다”… 고용 환경·정신 건강 실태조사 살펴보니

올 상반기 배달원 3년 새 2배 급증
가사도우미 등 대면서비스 90%↑
10명 중 1명은 플랫폼이 첫 일자리
월 평균 14일 일하고 수입 146만원
소상공인 줄고 사업 부채는 증가세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기간 비대면 일상이 익숙해지면서 오토바이 배달원 수가 2019년 상반기 11만 9626명에서 올해 상반기 23만 7188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는 정부 통계가 나왔다.

올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본격적으로 완화되면서 대면 서비스인 가사·청소·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지난해 2만 8000명에서 올해 5만 3000명으로 89.3% 증가했다는 고용노동부 조사도 제시됐다. 사회 변화에 따른 플랫폼 노동 시장의 빠른 적응력이 수치로 확인된 것이다. 또 플랫폼 종사자의 12.9%는 현재 플랫폼 일자리를 본인의 첫 번째 일자리라고 응답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발표한 ‘2022년 배달업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이와 같은 배달원 수 통계를 공개했다. 지난해 7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 이후 진행된 최초의 실태조사이다.

소비자와 음식점 간 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37곳,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 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 51곳을 대상 업체로 정했으며 각 지역의 배달대행업체는 전국에 7794곳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국토부는 배달 종사자 1200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면접조사도 실시했다. 조사 결과 배달 종사자는 월평균 약 25.3일을 일했으며 주중 9.5시간, 주말 9.9시간을 근무했다. 여기에는 2시간 휴식 시간이 포함돼 있다. 급여로 월평균 381만원을 벌지만 보험료와 렌털료 등으로 다달이 95만원을 지출해 순소득은 286만원이었다.

응답자의 43%가 최근 6개월 동안 평균 2건의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나머지 57%는 사고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주요 사고 원인은 ‘촉박한 배달 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42.8%), ‘상대 운전자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 순으로 조사됐다.

고용부 역시 이날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플랫폼 종사자에 대한 근무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스마트폰 앱을 매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사람을 플랫폼 종사자로 정의하는데, 식당에 직접 고용된 배달원이 아닌 다수 배달원들 역시 플랫폼 종사자의 범주에 포함된다.

고용부는 플랫폼 종사자 규모가 지난해 약 66만명에서 올해 약 80만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플랫폼 종사자의 57.7%는 주업, 21.2%는 간헐적 참가, 21.1%는 부업으로 해당 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근무일수는 14.7일, 플랫폼 노동으로 번 월평균 수입은 146만 4000원이라고 한다.

한편 통계청이 전통적인 일자리인 소상공인에 대해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720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7만 7000명, 즉 1.1% 감소했다. 사업체당 창업비용은 8800만원, 창업 시 본인 부담금은 6600만원이다. 사업체당 평균 부채액은 1억 7500만원으로 1년 새 4.2% 증가했다.
세종 옥성구·이현정·이영준 기자
2022-12-28 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