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출생아 수 1만 8000명대로 추락
12월 이후 8개월만에 또 ‘1만 명대’ 감소
역대 최저였던 2분기 합계출산율마저 ‘아슬’
청년 인구 줄며 9월 인구이동 50년만에 최저
![8월 인구동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175046_O2.jpg)
![8월 인구동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175046.jpg)
8월 인구동향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 출생아 수는 1만 898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798명(12.8%)이 감소했다. 2020년 11월 3673명(15.5%)이 줄어든 이후 2년 9개월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사망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0명(1.7%)이 증가한 3만 540명으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는 줄고 사망자는 늘어나면서 인구는 1만 1556명 자연감소했다. 한 달 새 인구가 1만명 넘게 줄어든 건 지난해 12월 1만 6507명이 자연감소한 이후 8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서만 총 7만 2725명의 인구가 줄었다. 월별 인구 감소 추세는 2019년 11월 이후 4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시도별로는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의 인구가 자연감소했다. 인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부산으로 1385명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자연감소 인구를 뜻하는 자연감소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으로 7명에 달했다. 이어 전북 6.2명, 경북 6.1명 순으로 인구 소멸이 빠르게 진행됐다.
혼인 건수도 줄면서 출생률 반등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 4610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08건(7.0%) 감소했다. 지난 5~6월 증가세를 보였던 혼인 건수가 7월(5.3%)에 이어 두 달 연속 떨어진 것이다.
대구와 세종, 경남 등 3개 시도에서만 지난해보다 혼인 건수가 증가했고 14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혼인을 전제로 한 이혼 건수는 805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9건(2.1%) 줄었다. 시도 별로는 대구와 인천 등 10개 시도는 증가했고, 서울과 부산 등 7개 시도는 감소했다.
인구 이동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과 맞물려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9월 이동자 수는 45만 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7000명) 감소했다. 9월 기준으로 1973년 37만 8000명 이후 50년 만의 최저치다.
통계청은 “통상 노년층보다 이동량이 많은 청년층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3분기의 경우엔 7월 신규 주택 입주 건수가 늘었고 8월엔 주택 매매량이 늘면서 전체 인구 이동량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앞서 최근 주택 매매와 입주 건수 증가 등으로 이동자 수가 지난 7월에는 2만 3000명, 8월에는 2만명이 반짝 늘어나기도 했다. 앞으로 인구 이동은 부동산 시장의 향배에 따라 갈릴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