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2%는 ‘N잡러’…더 일하고 덜 벌었다

취업자 2%는 ‘N잡러’…더 일하고 덜 벌었다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01-08 00:56
업데이트 2024-01-08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업·부업 평균 근로 54.6시간
시간당 소득 1만 3000원 수준
단독 일자리보다 3000원 낮아
‘N잡러’ 여성·60대 이상 늘어

이미지 확대
전체 취업자의 약 2%는 2개 이상 일자리를 가진 생계형 ‘N잡러’로 나타났다.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평균 근무시간은 주 54.6시간으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보다 14.4시간을 더 일했다.

하지만 N잡러들의 월 평균소득은 294만 7000원으로, 하나의 일만 하는 이들보다 불과 21만원을 더 벌었다. 시간당으로 환산하면 1만 3000원꼴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1만 6000원)보다 23.0% 적었다.

7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현황 및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2018~2022년)간 두 가지 이상의 일자리가 있는 취업자 비중은 2018년 1.9%, 2019년 2.1%, 2020∼2022년 2.0%로 평균 2.0% 수준을 보였다.

복수 일자리 종사자들이 ‘주된 일자리’에서 버는 월 평균소득(실질소득 기준)은 2022년 기준 186만 1000원으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273만 7000원)의 68%에 그쳤다. 근로시간은 주 평균 30.1시간으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40.2시간)보다 10시간 정도 짧았다. 그러나 주업과 부업을 합친 근로시간은 35.8%(14.4시간) 길었고, 주 최대 근로시간(52시간)을 초과했다.

N잡러들이 부족한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근로시간을 늘렸음에도 소득 증가가 제한적인 까닭에 대해 노동연구원은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주업과 부업의 전반적인 근로 여건이 좋지 못하고 불안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복수 일자리 종사자 중 ‘가장’에 해당하는 가구주의 비중이 69.5%로 조사됐다. 또 자영업자의 비중이 41.7%로 가장 높았다. 가족 생계를 위해 가장인 자영업자들이 N잡러로 내몰린 상황으로 풀이된다. 여성 비율은 2017년 40.7%에서 2022년 46.1%로 늘었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비중이 41.9%에서 49.6%로 확대됐다.

신선옥 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시간제 근로자 증가를 고려할 때 근로시간 및 임금 감소로 여러 일자리를 겸하는 근로자의 증가가 예상된다”며 “안정망과 사각지대 보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4-01-08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