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가입 1500만명 돌파

스마트폰 가입 1500만명 돌파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개월만에… 매일 4만명 개통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15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 3월 23일 1000만명을 기록한 지 넉달도 안 돼 500만명이 늘었다. 매달 평균 128만명, 매일 4만여명이 스마트폰을 구입하면서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1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스마트폰 가입자는 1535만명이다. SK텔레콤이 780만명, KT 545만명, LG유플러스 210만명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2009년 11월 애플 아이폰이 첫 선을 보인 후 19개월 만에 전체 가입자의 3분의1이 스마트폰으로 갈아탔다. 올 상반기 스마트폰 판매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4월 176만대가 팔린 후 5월 234만대로 전월 대비 33%가 증가했고, 지난달에는 257만대로 전월 대비 10%가 늘었다.

이통 3사의 스마트폰 가입자 전망치도 일제히 상향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KT는 당초 650만명이던 목표 가입자 수치를 850만명으로 늘렸고, 연말까지 각각 1000만명, 300만명을 예상하고 있는 SKT와 LG유플러스도 목표치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 연말 국내 스마트폰의 누적 가입자 수는 최대 25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5월 기준으로 5175만명인 국내 전체 가입자의 5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된다.

스마트폰이 이처럼 빠르게 확산되는 것은 경쟁력 있는 단말기가 대거 출시되고 애플리케이션 등 모바일 콘텐츠의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 단말기와 요금제가 비싸지만 애플리케이션 등 콘텐츠를 활용하는 데 제 값을 한다는 인식도 컸다.

이통사 관계자는 “손 안의 컴퓨터로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장점과 유행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정서가 스마트폰 대중화를 앞당기고 있다.”며 “음성통화 위주의 휴대전화 시대는 서서히 저물고 있다.”고 말했다. 4세대(4G)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의 대중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내년부터는 4G 스마트폰 각축전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7-14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