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마트폰업체 “韓시장 공략”

中 스마트폰업체 “韓시장 공략”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10-15 18:14
업데이트 2015-10-15 18: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산폰의 무덤’으로 여겨졌던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산 스마트폰이 영향력을 넓혀 가고 있다. 국내 시장이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 위주로 재편되면서 중국 기업들이 가격 대비 성능이 높은 제품으로 적극적인 공세를 펴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중국의 정보기술(IT) 기업 레노버는 30만원대의 스마트폰 ‘팹플러스’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 국내에서 PC와 노트북 등만 출시해 왔던 레노버가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건 처음이다. 팹플러스는 6.8인치의 대형 패블릿(대화면 스마트폰)으로, 동영상과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특화하며 ‘멀티미디어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최근 걸그룹 EXID의 멤버 하니를 홍보 모델로 발탁한 한국레노버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예고하고 있다. 이미 ‘하니폰’으로 입소문이 난 가운데 19일 열리는 공개 행사에서는 하니의 팬 사인회도 연다. 한국레노버 홍보 관계자는 “멀티미디어폰이라는 새로운 범주의 스마트폰으로 국내 젊은 층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X3’로 국내 시장의 문을 연 화웨이도 구글과 합작한 ‘넥서스6P’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32GB 모델의 출고가가 67만원으로 넥서스 시리즈에서는 프리미엄급에 가까운 제품으로 넥서스 마니아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달 전국 42개 서비스센터를 50개로 늘리며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기도 했다. 중국산 스마트폰 열풍의 진원지인 샤오미는 국내 시장에 진출하지는 않았지만 해외 직구족(族)들의 관심이 뜨겁다.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서는 휴대전화 공기계 베스트셀러 1위에 ‘샤오미 홍미노트2’가 올라 있으며 옥션에서는 ‘홍미노트2’ ‘화웨이 X3’ ‘레노버 K3’ 등이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산 스마트폰의 공세는 자급제 단말기 유통의 활성화와도 맞물렸다. 레노버는 ‘팹플러스’를 이동통신 3사를 통하지 않고 자급제폰으로 출시한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아이폰을 제외하고 눈에 띄는 외산 폰이 없었던 국내 시장에서 중국산 스마트폰이 주목받고 있다”면서 “높아진 브랜드 인지도와 가격 경쟁력으로 국내 기업을 위협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10-1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