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성 논란에 휩싸인 싱가포르 개발사 팔콘 글로벌의 모바일 게임 ‘와이푸-옷을 벗기다’ 캡처 화면.
뉴스1
게임학회는 6일 학회장인 위정현 중앙대 교수 명의의 성명서를 내고 “와이푸 게임이 구글 플레이 게임 부문 1위에 올랐다는 사실 그 자체에 대해 개탄한다”며 “이런 게임이 어떻게 중고교생이 이용할 수 있는 15세 청소년 이용가로 됐는지 경악스러울 뿐”이라고 밝혔다.
싱가포르 게임 개발사 ‘팔콘 글로벌’이 출시한 ‘와이푸-옷을 벗기다’는 이용자가 여성 캐릭터와 가위바위보 게임을 해서 이기면 옷이 하나씩 벗겨지는 게임이다. 모두 기이면 여성 캐릭터는 속옷 차림으로 남는다. 이 게임은 구글플레이에서 ‘15세 이용가’로 출시되면서 누적 다운로드가 100만건을 넘어서고 구글플레이스토어 인기 1위도 차지했다.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자 구글은 게임을 ‘숨김’ 처리했다. 하지만 이미 다운로드받은 이용자는 여전히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선정성 논란이 있는 게임이 15세 이용가로 출시된 적이 처음이 아니다. 게임학회는 “지난 2020년 국내 게임사 아이엔브이게임즈가 출시한 게임 ‘아이들 프린세스’에서도 선정성 논란이 발생한 바 있다”면서 “이번 사태가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나아가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한국게임학회
게임학회는 “이번 사태는 게임위의 게임등급분류와 관리기관으로서의 자질을 의심케 만든다”면서 “게임위는 예산과 인력의 한계를 이유로 구글, 애플과 같은 플랫폼 기업에 심의를 위탁하는 자체등급분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제도의 운영 능력은 물론 사후 관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이어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지정 후 조사·평가는 연 1회 수준으로 제대로 된 감시 체계와 위반 시 징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 보니 지정된 사업자인 구글 등 업체는 자체등급분류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면서 “게임 산업의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게임위의 심의제도와 사후관리에 대한 철저한 개혁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구글을 향해서도 자체 심의 기준을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게임학회는 지적했다. 자체등급분류 기관으로서 필터링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게임학회는 “구글이 자체심의 기준 공개를 거부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 구글은 자체 심의 기준이 무엇인지 전면 공개해야 한다”면서 “만일 구글이 공개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 국회는 자체등급분류 기업의 분류 기준을 공개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을 발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