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요기요](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13/SSI_20191213131858_O2.jpg)
![배달의민족, 요기요](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13/SSI_20191213131858.jpg)
배달의민족, 요기요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여행·교통 앱 월간 활성이용자(MAU)는 약 3637만명으로, 전월(2월)보다 26만명 증가했다. 관련 MAU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만이다. 특히 여행·교통 앱 가운데 T맵, 카카오맵, 구글지도, 네이버지도 등 지도·네비게이션 앱 MAU도 전월 대비 38만명 늘어난 3323만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5개월 만의 증가세 전환이다. 카카오T, 코레일톡 등 대중교통 앱은 28만명, 종합여행사 앱은 18만명, 항공사·항공원 앱은 11만명 증가했다.
여행·교통 관련 앱 이용자가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확산세사 지난달 중순에 정점을 찍은 이후 정체되면서 야외활동이 크게 늘어난 옇양으로 분석된다. 이날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이달 관련 MAU 증가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코로나19 시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음식배달 앱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지난달 배달앱 MAU는 2448만명으로, 전월보다 7만명 줄어들었다. 이는 지난 1월(2476만명)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난해 8월(2503만명)과 비교해선 55만명이 급감했다.
IT(정보기술)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특수를 누렸던 비대면 경제 관련 서비스는 이전보다 다소 주춤거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