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상승세… 강동구 최고 1500만원↑

서울 전셋값 상승세… 강동구 최고 1500만원↑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시장이 지루한 장마가 끝나면서 일제히 상승세로 돌아섰다. 여름방학이 시작되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난 것도 전셋값을 끌어올린 한 요인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은 중구와 강남, 성북, 강동, 송파, 중랑, 양천, 노원, 구로 등이 높은 상승률을 드러냈다. 강남구의 경우 주로 2억~3억원대 전세아파트를 중심으로 강세가 이어졌다. 대치동 은마 102㎡는 3000만원 오른 3억 3000만~3억 9000만원대에 전셋값이 형성됐다. 이곳의 올해 초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920만원 선이었으나 지금은 1160만원대까지 뛰었다.

강동구는 입주 4년차 단지인 암사동 프라이어팰리스가 최고 1500만원 올랐다. 2007년 7월 입주가 시작된 단지다. 기존 세입자들의 재계약으로 물량 부족이 심해지면서 가격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송파구는 장마가 끝나고 여름방학 이사수요가 본격화하면서 전체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방이동 올림픽선수촌 161㎡는 500만원 오른 4억 6000만~5억 7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수도권에서는 교통 호재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들썩였다. 신분당선 개통이 임박한 분당신도시와 김포한강로가 개통된 김포가 소폭 상향 조정됐으나 역세권으로 한정됐다. 바닥이 가까워졌다는 인식 속에서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하락세는 둔화됐다. 이달 기준금리 동결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방침에도 매매시장은 여전히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낙폭이 컸던 강남 재건축 단지만 선별적으로 급매물이 줄면서 상황이 바뀐 것이다. 일각에선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시세가 바닥에 근접했다는 인식이 서서히 자리잡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7-25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