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지역’ 전세는 거품 끼고 매매는 꺼져

‘버블지역’ 전세는 거품 끼고 매매는 꺼져

입력 2011-07-28 00:00
업데이트 2011-07-28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가 전세 80% 집중, 매매는 2천만원선 붕괴

최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3.3㎡당 1천만원을 넘는 고가 전세 아파트가 대폭 늘어난 반면 ‘버블세븐’ 지역의 3.3㎡당 매매가는 2천만원 아래로 떨어져 전세-매매시장간 온도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가 서울시내 전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3.3㎡당 1천만원 이상인 가구수가 17만9천458가구로 전세 오름세가 시작된 2009년 1월(3만2천107가구)보다 5.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 고가 전세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3.2%에서 현재 15.4%로 급증했다. 구별 평균 전셋값이 1천만원을 넘는 지역도 9개구에서 17개구로 약 2배 늘어나는 등 전세 오름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고가 전세 아파트가 6만4천371가구로 가장 많은 강남구는 10가구 중 7가구의 전셋값이 3.3㎡당 1천만원을 넘겼다. 서초구(3만7천238가구), 송파구(3만5천525가구), 양천구(1만4천128가구) 등에서도 고가 전세가 대폭 늘어났다.

서울지역 고가 전세 아파트의 84.3%가 이들 ‘버블 4개구’에 집중된 셈이다. 반면 강북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서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중랑구 등은 고가 전세 물량이 한 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그러나 버블지역도 매매시장 약세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이날 ‘버블세븐’(강남ㆍ서초ㆍ송파ㆍ목동ㆍ분당ㆍ평촌ㆍ용인) 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가 1천998만원(7.21 기준)으로 하락함에 따라 올해 들어 처음으로 2천만원 선이 무너졌다고 밝혔다.

올해 최고점을 찍었던 지난 3월과 비교하면 강남이 3천369만원에서 3천310만원으로 1.75% 빠지면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이어 송파 1.51%, 목동 0.28% 순으로 떨어져 서울지역 전체 변동률은 -1.19%를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서초가 유일하게 0.15% 올라 3.3㎡당 매매가 2천882만원으로 상승했고, 경기지역은 평촌(0.39%), 분당(0.23%), 용인(0.14%)이 모두 소폭 상승했다.

㈜부동산써브 박정욱 연구원은 “분당ㆍ평촌 등에는 하락세가 없었지만 정부가 최근 리모델링 수직증축을 불허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특별한 상승 모멘텀이 없어 가격회복은 당분간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