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꽁꽁 언 서울 아파트시장… 강남권 거래 절반 ‘뚝’

꽁꽁 언 서울 아파트시장… 강남권 거래 절반 ‘뚝’

류찬희 기자
입력 2016-01-24 17:26
업데이트 2016-01-25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파트 하루 평균 180건 매매… 18%↓

겨울 한파만큼이나 서울 주택시장도 얼어붙었다. 특히 단독주택이나 연립·다세대주택보다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권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소비자 심리도 위축되고 아파트값도 한달째 제자리를 걷고 있다. 이런 현상은 지방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미지 확대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2일 현재 주인이 바뀐 아파트는 3959건으로 하루 평균 180건 정도 거래됐다. 지난해 1월 6824건이 거래돼 하루 평균 220건 사고 팔린 것과 비교해 평균 18% 정도 감소했다. 반면 단독·다가구주택은 올해 들어 하루 평균 41건이 거래돼 지난해 1월 하루 평균 거래량 34건보다 많았다. 다세대·연립주택도 103건으로 지난해 1월 하루 평균 거래량 94건을 넘어섰다.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주택시장을 이끌었던 강남권 아파트 시장은 더 얼어붙었다. 강남구는 올해 들어 244건으로 하루 평균 11건 정도 거래됐다. 지난달(609건) 하루 20여건이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서초구 아파트 시장도 51건이 팔려 전달(157건)보다 하루 평균 거래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강동구는 164건으로 집계돼 하루 평균 7.4건이 거래됐다. 지난해 1월 하루 평균 거래량 12.5건, 전달 하루 평균 20건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0월 1만 1566건을 기록한 뒤 11월 이후부터 이달까지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주택 구매 심리가 작년 10월 이후 뚜렷하게 주춤해졌다는 방증이다. 특히 최근 매매 가격이 약보합세로 돌아선 데다 다음달 가계부채 관리 방안 시행을 앞두고 시장에 미치는 파장 등을 지켜보려는 관망 수요가 늘면서 거래가 둔화되는 모습이다. 공급 과잉에 따른 시장 불안, 미국발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변화 우려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전세 세입자의 매매 전환 수요도 한계에 다다른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전월세 거래량도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8029건으로 하루 평균 364건을 기록하고 있지만 지난해 1월(1만 4328건)의 하루 평균 462건이나 지난달(1만 4767건)의 하루 평균 475건과 비교하면 하루 100건 정도 감소했다.

향후 주택시장 전망 수치도 하락하고 있다. 국토연구원이 조사, 발표하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지수도 지난달 107.9로 전달보다 13.7포인트 떨어졌다. 이 지수 95~115는 부동산 경기가 보합세를 유지한다는 의미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내놓은 주택사업환경지수 역시 52.6으로 전달보다 13.1포인트 떨어졌다. 이 지수는 100이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건설업체가 나빠질 것이라고 보는 업체보다 많다는 의미다.

아파트값도 올해 들어 4주 연속 보합세를 유지했다. 한국감정원이 지난주 전국 아파트값을 조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방 아파트를 중심으로 값이 떨어져 4주 연속 보합세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다음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부터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됨에 따라 주택 구입 관망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함영진 부동산 114 리서치센터장은 “주택시장이 심리적으로 위축된 데다 전셋값도 오름세가 주춤한 상황이어서 전세의 매매 전환이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다”며 “이사철이 가까워지면 거래량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작년만큼 거래량이 폭증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1-25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