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분양 6만가구 육박, 위험선 근접…매매는 1년 전 ‘반토막’

미분양 6만가구 육박, 위험선 근접…매매는 1년 전 ‘반토막’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2-12-30 10:12
업데이트 2022-12-30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미분양 주택 5.8만가구
정부 위험선 6.2만가구로 책정
조만간 추가 규제 완화책 전망
서울 아파트 매매 역대 최저치

남산에서 내려다 본 서울 아파트. 연합뉴스
남산에서 내려다 본 서울 아파트. 연합뉴스
고금리에 집값 하락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6만가구에 육박했다. 정부가 미분양 위험선으로 보는 6만2000가구에 임박해 추가 부동산 규제 완화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1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8027가구로 전월(4만7217가구)보다 22.9%(1만810가구) 증가했다. 지난 2019년 9월(6만62가구) 이후 3년 2개월 만에 가장 많은 미분양 물량이다.

미분양 물량은 수도권이 1만373가구로 전월(7612가구) 대비 36.3%(2761가구) 늘었다. 서울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인천과 경기는 전월보다 각 48.3%, 38.5% 증가했다. 지방은 4만7654호로 전월(3만9605가구)보다 20.3%(8049호) 증가했다. 특히 울산은 전월 대비 112.1% 급증해 미분양 물량이 쏟아졌다.

면적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6003가구로 전월에 비해 26.5%, 면적 85㎡ 이하 미분양은 5만2024가구로 22.5%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110가구로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현재 미분양 증가 추세로는 이달 미분양 물량이 6만2000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정부가 판단하는 미분양 위험선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최근 한 부동산포럼에 참석해 “국토부는 미분양 아파트 6만2000가구를 위험선으로 보는데, 매달 1만가구씩 늘고 있다”면서 “당초 예상보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각한 만큼 규제 완화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미분양이 장기화되면 자금 조달이 어려운 지방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건설업계의 줄도산 우려가 커진다. 이에 정부는 조만간 부동산 추가 규제 완화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안갯속’ 부동산 시장
‘안갯속’ 부동산 시장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의 한 아파트단지 전경.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올해 주택 매매량은 ‘반토막’이 났다. 11월까지 누적된 주택 매매량은 48만187건으로 1년 전보다 50.1% 급감했다. 특히 서울 주택 매매량은 5만3163건에 그쳐 전년보다 55.9% 주저앉았다. 아파트 매매량이 28만359건으로 56.1%,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이 19만9828건으로 38.1% 감소했다.

11월 한 달 동안 아파트 매매량은 전국에서 1만827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1% 줄어 이 역시 반토막이 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761건에 그치며 2006년 1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0만3420건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5.4% 증가했다. 전세 거래량은 9만7242건으로 1년 전보다 8.6% 줄었지만, 월세 거래량은 10만6178건으로 22.6% 늘었다.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로 부동산 시장이 거래 절벽을 넘어 ‘빙하기’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서울 강남구의 한 부동산에 전세 매물 시세표가 붙어 있다.
도준석 기자
세종 옥성구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