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지주 고문으로 돌아온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인터뷰
20명 남짓한 작은 금융사를 2만 3000여명의 금융그룹으로 키워 냈다. 대형 인수합병(M&A)들을 통해 몸집을 불렸고 2010년엔 외환은행을 인수하면서 대한민국 금융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러나 비자금 조성 의혹 등 논란 속에 2012년 하나금융 회장, 2014년 하나금융 고문직에서 물러났다. 김승유 전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걸어온 길이다.‘당진시 명예시민 1호’인 김승유(왼쪽) 한국투자금융지주 고문이 지난 7일 당진 초락초교에서 열린 ‘피아니스트 노영심과 함께하는 작은 학교 찾아가는 작은 콘서트’에 참석한 뒤 노씨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승유 고문 제공
김승유 고문 제공
‘오프라인 세대’인 김 전 회장이 선뜻 ‘온라인’으로 방향타를 잡은 것이 의아했다. 그는 사례를 통해 답을 대신했다.
“미국 대표 통신사인 AT&T는 신용카드업을 하려다 잘 안 됐다. 고객 데이터는 넘쳤지만 통신사는 요금을 안 내면 석달 안에 서비스를 해지해 버린다. 그러다 보니 금융업의 핵심인 신용리스크 분석이 부족했다.”
또 다른 일화도 소개했다. 김 고문은 “예전에 한 일본인 금융가가 고정관념과 달리 ‘증권보다 은행이 더 위험하다’고 하더라. 이유를 물어보니 ‘증권사는 위험 상황에서 보유 주식 등을 시장에 팔면 그만이지만 은행은 대출로 내 준 돈을 차주로부터 돌려받기가 더 어렵다’고 답했다”고 떠올렸다. 은행업이 그만큼 위험성이 큰 데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뜻이고, 그의 금융 경력이 카카오뱅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취지였다. 김 고문은 카카오뱅크의 향후 전략도 설명했다. 그는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주요 나라의 계좌를 갖고 있으면 1만 달러까지 송금이나 결제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신한은행이 과거 ‘첫 주거래 은행은 평생 은행’이라는 취지로 캠퍼스에 지점을 경쟁적으로 넣었던 게 주효했던 것처럼 카카오뱅크 역시 대학가를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숙제는 인터넷뱅크에 대한 은산분리(산업자본의 은행 소유 제한) 완화다. 일부에서는 현행법이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보유를 4%까지만 인정하면서 금융업 발전의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있다. 김 고문은 “빅데이터 시대에 기업에 대한 은행 정보는 그리 대단하지 않은 데다 금융은 이미 국경을 넘고 있다”면서 “(은산분리 완화로) 정보와 자금 배분이 특정 기업에 쏠릴 것이라는 우려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개척자 정신’을 지닌 카카오와 손잡고 카카오뱅크의 혁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만으로도 족하다”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7-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