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재영 원장 “원달러 환율, 불안정성 커질 확률 커…경제 위기 수준은 아니야”

최재영 원장 “원달러 환율, 불안정성 커질 확률 커…경제 위기 수준은 아니야”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2-09-05 18:00
업데이트 2022-09-05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이 5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 있는 국제금융센터 사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이 5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 있는 국제금융센터 사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현재 국제금융시장이나 세계경제 상황이 호락호락하지 않아 앞으로도 원달러 환율에 대한 불안정성이 커질 확률이 높습니다.”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달러의 국제 시세라 할 수 있는 달러인덱스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간 갈등으로 인한 세계 공급망 악화 등 달러 강세가 지속될 수 있는 요인들이 산재해 있다는 것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3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1370원을 넘어선 1371.4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원장은 “원달러 환율 등락이 너무 심하면 경제행위를 하는 주체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면서 “유학생만 하더라도 환율이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르다면 의사결정을 하는 데 고민과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고 우려했다. 일단은 오는 13일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때까지는 불안한 상태가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최 원장은 “지금 우리나라가 겪는 고환율은 전 세계적으로 다 같이 겪고 있는 것”이라면서 “아직은 경제위기라기보다 불안한 상황이라고 보는 게 맞다”고 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연초 대비 14.6% 정도 증가했는데, 우리나라 원달러 환율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해 국제 시세와 비슷하다는 분석이다. 원달러 환율 안정화를 위해 정부가 달러 매도 등 억지로 개입에 나서게 되면 외환보유액 축소로 자칫 외환시장에 부정적인 시그널을 줄 수 있기에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최근 무역수지 적자폭이 커지면서 환율 상승을 압박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최 원장은 “국제 경기가 안 좋게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수출이 극적으로 개선되길 바라기는 힘들다”고 전망했다. 최 원장은 “다행스러운 것은 서비스 부분을 포함한 경상수지가 무역수지를 받쳐 주고 있기 때문에 경상수지가 적자가 되기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다”면서 “정부가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관리를 우선순위로 두고 경제정책을 운용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원장은 행정고시 31회로 공직에 입문해 31년간 기획재정부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와 세계은행 등에서 일했다. 1998년 미국 미주리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2019년 6월부터는 국제금융 분석 전문 기관인 국제금융센터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난달 29일에는 국제금융센터에서 3년여 간 근무한 경험을 토대로 환율의 기본 개념부터 환율 변화 예측까지 담은 ‘환율 비밀노트’를 펴내 화제를 모았다. 최 원장은 “그동안 많은 전문가를 만나면서 환율 관련 헷갈렸던 부분에 대해 깨닫게 점들을 메모해놨었는데, 이를 책으로 펴내게 됐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 1999년 4월에 설립됐다.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 급등 등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사흘만인 지난 5월 13일 국제금융센터에서 거시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여는 등 정부와 공조·대응 체계 마련도 강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달 말 임기를 마치는 최 원장은 “정부와 민간의 교량 역할을 하는 게 국제금융센터의 역할인데 임기 동안 그런 역할을 제대로 해냈다는 데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