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융불안지수 두 달째 ‘위기’… 가계·기업 빚, GDP의 224% 최대

금융불안지수 두 달째 ‘위기’… 가계·기업 빚, GDP의 224% 최대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2-12-22 20:16
업데이트 2022-12-23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시장 이어 자금시장도 냉각
팬데믹 후 2년 4개월 만에 ‘위기’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촉발된 주요국들의 강도 높은 긴축으로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자금시장까지 얼어붙으면서 우리나라의 금융불안지수(FSI)가 2개월 연속 ‘위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4~6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급증하는 가계·기업의 부채와 자금시장의 유동성 위기가 금융 시스템을 풍랑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물·금융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금융불안지수는 10월 23.6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4월(24.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뒤 11월 23.0으로 소폭 내려왔다. 금융불안지수는 8 이상 22 미만이면 ‘주의’, 22 이상이면 ‘위험’ 단계로 구분된다. 올해 3월(8.6)부터 9월(19.7)까지 ‘주의’ 단계에 머물다가 10월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금융 시스템 복원력 등의 지표를 바탕으로 금융 시스템의 중장기적 취약성을 평가한 금융취약성지수(FVI)는 2분기 47.4에서 3분기 44.9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36.8)을 웃돌고 있다.

지난 3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신용(자금순환통계상 가계·기업 부채 합) 비율은 223.7%로 2분기(222.3%) 대비 1.4% 포인트 올라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한은은 ▲높은 가계부채 수준 ▲기업신용의 가파른 증가세 ▲코로나19 이후 부동산금융의 증대 ▲비은행금융기관의 복원력 저하 등을 금융 시스템의 취약 요인으로 지목했다.





김소라 기자
2022-12-23 2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