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블로그]
2006년 이후 꼼수 없이 증여세 납부
용진, 광주신세계 팔면 1400억 확보
유경, 신세계인터 일부 매각 가능성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08/SSI_20201008024403_O2.jpg)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08/SSI_20201008024403.jpg)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08/SSI_20201008024521_O2.jpg)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08/SSI_20201008024521.jpg)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이번에는 현물을 납부하는 대신 담보로 대출을 받아 현금으로 낼 것으로 보인다. 현물로 내면 지분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경영 승계를 본격화하고 지배력을 공고히 할 시점에 지분율을 떨어뜨리기는 어렵다. 증여 주식 일부를 세무서에 담보로 제공하면서 최장 5년간 나눠 내는 연부연납 제도 등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기타 상장 계열사 지분 매각도 방법이다. 신세계그룹 상장 계열사 7곳 가운데 정 부회장은 광주신세계 지분 83만 3330주(52.08%)를 확보한 최대주주다. 정 부회장이 광주신세계 지분을 모두 매각한다면 7일 종가 기준으로 1400억원대 현금을 확보할 수 있다. 광주신세계는 광주 지역의 백화점만 운영하는 회사다. 이번 주식 증여에서도 나타나듯 그룹이 이마트는 정용진, 백화점은 정유경으로 분리경영 체제를 굳힌 만큼 정 부회장이 광주신세계 지분을 정리해 증여세 재원을 마련할 가능성이 있다. 정 부회장은 2018년에도 증여세를 내기 위해 그룹 패션·라이프스타일 담당 신세계인터내셔날 지분 7640주(0.11%)를 완전히 털어 낸 적이 있다.
정 총괄사장은 신세계인터내셔날 지분 108만 964주(15.14%)를 보유 중이다. 백화점 사업과의 시너지가 커 지배력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증여세 부담이 크기에 일부를 정리할 가능성이 있다. 앞서 아버지인 정 명예회장에게 주식을 받았을 때도 일부(15만주)를 매각한 적이 있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달 28일 정 부회장에게 이마트 지분 8.22%, 정 총괄사장에게 신세계 지분 8.22% 등 4900억원 규모의 주식을 증여했다. 이들이 내야 하는 증여세는 정 부회장 2000억원, 정 총괄사장 1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 회장은 지분을 증여한 뒤 최대주주에서는 내려왔지만 여전히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0%씩 보유하고 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10-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