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8/SSI_2022041809432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8/SSI_20220418094326.jpg)
기아는 일반차량과 전기차를 아우르는 고품질 인증중고차 공급, 신차 구독 서비스와 연계한 중고차 상품 개발 등의 내용을 담은 향후 중고차 사업의 구체적 내용과 방향을 18일 밝혔다.
고품질 중고차 공급을 위해 5년, 10만㎞ 이내 기아 브랜드 차량만을 취급한다는 것이다. 약 200여개 항목에서 품질 인증을 거치는 등 엄격한 상품과 과정을 거친다. 기존 업계와의 상생을 위해 2024년까지 시장 점유율을 최대 3.7% 이하로 낮춘다고도 강조했다.
향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차에 적합한 사업 모델도 개발한다. 지난해 중고 전기차는 1만 2960대나 거래돼 전년(7949대) 대비 무려 63%나 증가했다. 그러나 객관적인 성능평가나 가격 산정 기준이 없어 판매업체를 거치지 않는 개인간 거래 비중이 64.3%나 된다. 기아는 전기차 가격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배터리의 잔여 수명과 안정성 등을 측정해 최저성능기준을 만족하는 차량만 인증해 판매할 예정이다. 기준은 조만간 세울 계획이다.
최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차량 구독 서비스와도 연계한 중고차 구독상품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신차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중고차를 구독할 수 있다. 차량을 구매하기 전 약 한 달간 체험해본 뒤 구매를 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관할하는 ‘중고차판매업 생계형 적합업종 심의위원회’가 지난달 17일 중고차 판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지 않으면서 현대차, 기아 등 완성차 대기업의 중고차 매매 시장 진출이 가능해졌다. 현재 사업 내용을 조정하고 있는 단계이고 기아는 결과에 따라 사업 계획과 상생안을 더욱 구체화할 예정이다. 다만,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등 기존 중고차업체 단체들이 이들의 진출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