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열차운행제어시스템’이 18일부터 운영되면서 열차 운행 안전성은 6배, 개량비용은 50% 줄일 수 있게 됐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8/SSI_20220418105956_O2.jpg)
![‘한국형 열차운행제어시스템’이 18일부터 운영되면서 열차 운행 안전성은 6배, 개량비용은 50% 줄일 수 있게 됐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8/SSI_20220418105956.jpg)
‘한국형 열차운행제어시스템’이 18일부터 운영되면서 열차 운행 안전성은 6배, 개량비용은 50% 줄일 수 있게 됐다. 서울신문 DB
열차제어시스템은 철도에서 열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열차간격을 확보해 안전한 열차 운행과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신호 시스템으로 철도 운행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KTCS-2는 열차위치 확인을 위해 4세대 무선통신기술인 LTE 기술을 활용한 철도전용 통신망으로 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국토부가 개발한 기술로 전라선에 시범 적용해 검증 절차를 마쳤다.
KTCS-2는 기존 방식과 같이 선행열차의 위치는 지상장치에서 확인하지만, 후행열차의 이동가능한 거리나 제한속도 등 열차운행에 필요한 정보는 LTE-R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KTCS-2 상용화로 열차제어를 위해 선로주변에 설치한 신호기 등 지상장치를 최소화 할수 있고, 실시간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현재 경부선 등에 설치된 외국산 신호시스템(ATC)에 비해 안전성은 6배 높고, 선행 열차와의 운행 간격은 최대 23% 이상 줄여 열차 수송력을 1.2배 늘리는 동시에 시스템 개량비용도 50% 줄일 수 있는 기술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실제 신호체계를 교체할 광명~대구(250㎞) 구간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 기존 방식을 적용하면 교체 비용이 1조 6400억원 들어가는데 비해 KTCS-2를 적용하면 8200억원에 공사를 마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외국 기술에 의존하던 철도 신호 기술의 완전 국산화도 이뤄졌다. 지상장치 없이 무선통신만으로 열차위치와 운행정보를 주고 받는 차세대 신호체계(KTCS-3)로 나아가기 위한 사다리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표준규격을 준용해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