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국이 때린 건 중국인데...中 수출 쪼그라든 韓 반도체

미국이 때린 건 중국인데...中 수출 쪼그라든 韓 반도체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4-25 16:51
업데이트 2022-04-25 16: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제재 전후 中 반도체 수입시장 비중
대만 4.4%P, 일본 1.8%P 늘어난 반면
한국 점유율은 5.5%P 하락..타격 커
“메모리 가격 하락,파운드리 약진 영향”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미국의 대(對) 중국 반도체 공급 규제 이후 중국 반도체 수입 시장에서 대만과 일본 반도체 기업은 약진한 반면, 우리나라 반도체는 점유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중국의 화웨이와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를 대상으로 한 미국 정부의 반도체 공급 규제 이후 대만과 한국, 아세안 6개국(베트남·싱가포르·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일본,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입 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수입 시장에서 2019년 미국의 제재가 시작되기 전 해인 2018년 대비 지난해 대만의 점유율은 4.4%포인트, 일본의 점유율은 1.8%포인트, 아세안 6개국은 0.4%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5.5%포인트 하락하며 미국(-0.3%포인트)보다 더 큰 폭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2018년보다 37.2% 늘었는데 대만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각각 57.4%, 37.2% 늘었다. 반면 중국의 우리나라 반도체 수입은 6.5% 늘어나는 데 그쳤다. 미국의 반도체 소프트웨어·장비를 활용해 생산한 반도체 공급을 막은 미국의 네 차례에 걸친 규제로 중국 기업이 대만산 반도체 수입은 늘린 반면, 화웨이가 한국산 메모리반도체 구매를 중단하고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영향 등이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중국 제재 전후인 2018~2021년 사이 가장 큰 변화는 메모리반도체 가격의 폭등 뒤 하락으로 우리 기업들의 주력 제품이 메모리반도체인 만큼 가격 하락이 점유율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며 “같은 기간 자동차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파운드리 업체의 약진, 중국의 스마트폰 등 IT 기기 시장 침체 등도 중국 반도체 수입 시장에서 대만의 약진과 한국의 부진이라는 결과를 낳은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의 반도체 초격차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새 정부가 반도체 인력 양성, 공장 신·증설 규제 해소,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세제 혜택 등의 정책 지원을 기민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4~2018년 21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매출액 대비 정부 지원금 비중이 높은 상위 기업들은 대부분 중국과 미국 기업이 차지했다. 중국의 SMIC가 6.6%로 가장 높았고 화홍(5%), 칭화유니그룹(4%)이 톱3에 자리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도 마이크론 3.8%, 퀄컴 3%, 인텔 2.2% 등 상당 수준의 정부 지원금을 받은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각각 0.8%, 0.5%에 불과했다.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