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포스코그룹 수뇌부 참석한 첫 ‘미래기술전략회의’…핵심기술 로드맵 고민

포스코그룹 수뇌부 참석한 첫 ‘미래기술전략회의’…핵심기술 로드맵 고민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06-02 09:50
업데이트 2022-06-02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정우 “수소·이차전지 투자속도 신기술 확보 심혈”
2일 열린 포스코홀딩스의 ‘미래기술전략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는 최정우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2일 열린 포스코홀딩스의 ‘미래기술전략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는 최정우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가 2일 그룹의 미래 소재 기술을 점검하고, 향후 기술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미래기술전략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안건을 보면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는 수소환원제철, 경쟁이 격화되는 배터리 부문 등에 대한 초격차 기술 확보, 핵심 인재 확보 등 포스코그룹의 성장 로드맵에 대한 고민이 묻어났다.

미래기술전략회의에는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팀장, 정창화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그룹사 주요 임원 20여명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포스코그룹의 새로운 사업영역인 수소와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투자 속도를 높이고 신기술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우리가 앞서나가 글로벌 톱티어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최 회장은 또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철강은 이차전지소재, 수소와 함께 그룹을 이끄는 ‘친환경 미래 소재’”라며 “포스코그룹이 수소환원제철기술 등 저탄소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래기술전략회의 정례화, 인재 확보·벤처투자도
2일 포스코그룹의 미래 소재기술을 점검하고 향후 기술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포스코홀딩스의 ‘미래기술전략회의’가 진행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2일 포스코그룹의 미래 소재기술을 점검하고 향후 기술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포스코홀딩스의 ‘미래기술전략회의’가 진행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이날 회의는 ▲인공지능 플랫폼 친환경미래소재 그린철강 ▲미래연구원 연구분야별 벤처투자/산학연협력 현황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인공지능 플랫폼’세션에서는 생산현장, 원료가격 및 자재구매가 예측 등 일반 사무업무, 연구개발 분야의 생산성 향상, 제조·장치사업에 특화된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에너지 효율성 증대 등을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해 논의했다.

‘친환경미래소재’세션에서는 배터리 회사간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 방안을 고민하고, 범용제품부터 고성능제품까지 이차전지소재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초격차 기술 확보,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 등에 대해 논의하고, 수소·저탄소 분야는 저온/고온 수소전기분해, 암모니아 수소 추출, 탄소포집 등 전략기술 내재화, 중장기 핵심역량 강화 방안 등을 다뤘다.

‘그린철강’ 세션에서는 탄소중립기술이 미래 철강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기술임을 재차 강조하고, 저탄소 조업기술, 단계적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로드맵 및 글로벌 기술리더십 확보 계획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미래연구원 연구분야별 벤처투자/산학연협력’세션에서는 우수 벤처 발굴과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한 핵심 인재 확보와 R&D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그룹 고유의 산학연인프라와 벤처펀드를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확보해 미래사업에 대한 기술경쟁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 반기마다 미래기술전략회의를 개최해 전략 방향을 점검하고, 논의된 내용을 기반으로 친환경 미래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미래사업 발굴과 신기술 확보를 위한 벤처투자 및 연구개발에도 약 2조 7000억원을 투자하고, 분야별 인재 육성 및 외부 전문가 영입을 통해 사업 성공의 기틀을 마련하다는 방침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