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럽 프리미엄 시장 잡아라”… 삼성·LG, 밀라노서 ‘빌트인’ 대전

“유럽 프리미엄 시장 잡아라”… 삼성·LG, 밀라노서 ‘빌트인’ 대전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06-06 20:38
업데이트 2022-06-07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과 LG가 7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 각각 전시 부스를 마련하고 유럽 프리미엄 가전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이미지 확대
7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빌트인 제품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삼성전자 모델이 세부 행사인 ‘유로쿠치나 2022’에서 새로운 주방 트렌드로 제시할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7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빌트인 제품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삼성전자 모델이 세부 행사인 ‘유로쿠치나 2022’에서 새로운 주방 트렌드로 제시할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 공개

삼성전자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 세부 행사 가운데 하나인 ‘유로쿠치나 2022’에서 ‘비스포크 홈’(Bespoke Home)을 공개한다고 6일 밝혔다. 800㎡ 규모 전시 공간은 주방 가전에서부터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등을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비스포크 홈 형태로 구성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주방 트렌드를 제시하며 유럽 소비자들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냉장고를 비롯해 올해 새롭게 출시되는 오븐, 식기세척기, 인덕션 등으로 구성된 이 패키지는 다양한 색상과 주방 가구에 딱 맞춰 설치할 수 있는 ‘빌트인 룩’ 디자인이 특징이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스팀 기능이 적용된 ‘비스포크 빌트인 오븐’ 신제품도 최초로 공개한다.

이강협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은 “빌트인 가전의 본고장인 유럽에서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술로 새로워진 비스포크 홈과 스마트싱스 홈 라이프 서비스를 통해 가전 시장 위상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7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빌트인 제품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LG전자는 최고급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제품들로 꾸민 전시관과 단독 쇼룸을 선보인다. LG전자 제공
7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빌트인 제품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LG전자는 최고급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제품들로 꾸민 전시관과 단독 쇼룸을 선보인다.
LG전자 제공
●LG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내세워

LG전자 역시 최고급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전면에 내세웠다. 400㎡ 규모 전시관을 색상 선택 폭을 넓힌 오븐 패키지와 인덕션, 아일랜드 식탁이나 조리대 아래에 빌트인으로 설치하는 24인치 서랍형 와인셀러와 냉장고, 6개 도어를 갖춘 48인치 빌트인 프렌치도어 냉장고 등으로 구성했다. 유럽은 가전과 가구를 일체감 있게 설치할 수 있는 빌트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곳으로,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유럽 빌트인 시장은 약 224억 달러(약 28조 448억원) 규모로 글로벌 빌트인 시장의 3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부사장)은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의 입지를 강화하며 빌트인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2022-06-0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