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청노조 협상 타결 이후 남은 것
회사 매출 등 피해 8000억 추산
미뤄진 공정 완전 만회 역부족
납기 맞추기 전사적 역량 동원
원자재값 올라 작년 1.7조 손실
일각선 ‘분리매각’ 가능성 제기

대우조선해양 제공

바닷물 들어찬 옥포1도크
바닷물 들어찬 옥포1도크지난 23일 경남 거제의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1도크에서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의 조업이 중단된 지 약 5주 만에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이 진수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 제공
24일 대우조선해양과 업계 등에 따르면 옥포조선소 1도크는 최근 점거로 공정이 5주가량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 측은 하청노조의 농성이 풀리자마자 곧장 건조 중이던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 1척을 도크에서 빼냈다. 시운전 등 막바지 작업 이후 선박 인도 예정일인 오는 11월 납기를 맞추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기울인다는 게 대우조선 측의 설명이다.
농성 장소인 1도크만의 문제가 아니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파업으로 2도크와 플로팅도크 또한 인도가 4주 지연됐으며 안벽에 계류된 일부 선박들도 1~3주 정도 조업이 미뤄지는 등 영향을 받았다. 일부 직원들은 일요일인 이날도 조선소로 출근해 2도크 선박 진수 재개를 위한 작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휴가 중에도 특근이 가능한 인원을 파악하고 있다”면서 “지난 23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여름휴가 기간이지만 상당수 직원이 출근해 납기를 맞추기 위해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런 조치들에도 이미 미뤄진 공정을 완전히 만회하기는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선박을 마지막에 인도할 때 대금을 받는 조선업의 구조상 정해진 시일에 돈을 받지 못하면 자칫 현금 흐름이 악화해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 계약상 납기 지체에 따른 보상금을 선주에게 물어 줘야 할 수도 있다. 회사는 이번 파업으로 매출 손실 등 8000억원 이상의 피해가 생긴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우조선의 분리 매각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대중공업그룹으로의 ‘통매각’이 유럽연합(EU)의 반대로 무산된 가운데 독자 생존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대우조선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회사의 경영컨설팅이 진행 중이고 다음달 말쯤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분리 매각 가능성이 컨설팅 내용에 포함될지는 알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2022-07-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