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누리호’ 성공 주역 “우주시대 R&D, 기업체 중심으로 전환돼야죠”

‘누리호’ 성공 주역 “우주시대 R&D, 기업체 중심으로 전환돼야죠”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07-25 18:00
업데이트 2022-07-25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창헌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미래사업부문장 인터뷰

“누리호, 시장서 경쟁하려면 갈 길 멀어”
KAI, 위성 영상 판매 및 통신 서비스도
“뉴 스페이스, 대항해 시대에 비유돼,
통치자의 아젠다, 온 국가 역량 총동원”
이미지 확대
“‘누리호’의 성공은 ‘한국도 발사체 기술을 확보했다’는 걸 과시하는 차원의 의미입니다. 기업의 관점에서, 시장에서 경쟁하는 ‘제품’이 되려면 앞으로 해결할 과제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누리호부터 다음달 쏘아 올려질 국내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까지. 이 정도면 우리도 충분하지 않을까. 우주 개발의 주도권이 민간으로 넘어와 경제·산업의 기회로 탈바꿈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서 말이다.

대답을 듣고자 25일 경남 사천에 있는 국내 대표 우주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우주센터를 총괄하는 한창헌(사진) 미래사업부문장을 만났다. “지난달 누리호 성공에 기분이 어땠나.” 인터뷰 초반 경직된 분위기를 깨고자 던진 다소 뻔한 질문에 한 부문장은 “그리 ‘울컥할’ 정도는 아니었다”고 했다. 의외의 대답이었다.

누리호 성공, 기업은 아직 주연 아닌 ‘조연’

KAI는 누리호의 ‘체계총조립’을 담당했다. 나사 등 작은 구성품에서부터 누리호의 형상을 완성하기까지 전체 조립과 성능, 시스템을 검증하는 역할이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 수백여개의 기업 중 가장 막중한 임무였음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기술을 총괄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을 뒷받침하는 ‘조연’에 불과했다는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스페이스X’처럼 완벽한 주인공은 아직 되지 못했다는 아쉬움, 나아가 한국은 아직 민간 기업이 독자적으로 우주 사업에 나설 만큼 토양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냉혹한 현실 인식. 그의 감흥이 다소 덜했던 이유다.

“‘적당히 구현할 수 있는’ 기술과 무한경쟁 시장에 내놓을 제품을 만드는 기술은 다릅니다. 아직 우리는 많이 부족하지만 앞으로가 중요합니다. 연구·개발의 중심이 예전처럼 국가의 연구소가 아닌, 기업체로 전환돼야 합니다.”

“우주의 산업화, 핵심은 서비스”

기업이 스스로 위성을 만들어 팔게 된다고 뉴 스페이스가 오는 건 아니다. 2040년 1000조원에 이른다는 이 시장의 핵심은 바로 ‘서비스’다. 위성을 발사해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거나 지상의 정보를 가치 있는 데이터로 가공하는 것. 아직 요원한 일이지만 달 탐사 이후 본격화할 우주 자원 개발도 여기에 해당한다.

“정부의 물량을 수주해 제작하는 이곳 우주센터는 ‘올드 스페이스’의 상징입니다. 여기에 안주하지 않겠습니다. 우선 올해 위성으로 수집한 영상을 분석하고 판매하는 사업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그다음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통신 서비스 시장에도 진출하기 위해 여러 기업과 접촉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청, 특정 부처 밑에선 동력 못 얻어”

다만 정부의 역할이 아예 사라지는 건 아니다. 특히 너나없이 뛰어드는 이 시장이 기업 간 ‘치킨게임’의 장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부의 수요를 효율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한 부문장은 강조한다. 아울러 ‘항공우주청’ 설립을 공약으로 내걸 만큼 우주 사업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는 윤석열 정부에 제언의 목소리도 전했다.

“흔히 뉴 스페이스를 ‘대항해 시대’에 비유하곤 합니다. 인류의 경제 영토가 우주까지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대항해 시대에는 통치자의 강력한 의지가 중요했습니다. 앞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주를 국정의 핵심 어젠다로 삼고, 국력을 총동원할 때입니다. 항공우주청이 특정 부처 산하에 있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정권이 바뀌어도 뚝심 있게 사업을 이어 갈, 충분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천 오경진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