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현대자동차 매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다만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만큼 큰 비용을 선제적으로 털어내는 동시에 품질 이슈에 철저하게 대응하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도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18일 각각 품질비용 1조 3602억원과 1조 5442억원이 발생해 충당금으로 반영한다고 공시했다.
이날 회사가 갑작스레 충당금을 설정하게 된 배경에는 반도체 수급난, 고환율 등의 복합적인 영향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와 기아는 세타2 엔진의 떨림, 화재, 시동꺼짐 등의 문제로 리콜을 시행하며 2019년 해당 엔진이 탑재된 차량을 대상으로 엔진진동감지시스템(KSDS) 적용을 확대하는 등 평생 품질 관련 보증을 약속한 바 있다.
이와 관련, 2020년 3분기 3조 3944억원의 충당금도 이미 반영했었다. 그러나 반도체 수급의 영향이 길어지면서 중고차의 잔존연수가 길어지면서 엔진을 교체해줘야 하는 차량의 수요가 크게 늘었다. 여기에 1400원대에 달하는 고환율도 영향을 끼치며 부담이 커졌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다소 부족했던 예측을 현실화한 것으로 전례 없는 엔진 평생보증 프로그램에 대한 비용을 합리적으로 추산해 반영했다”면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고수익 차종의 판매 호조와 환율효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던 3분기 경영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품질 이슈만큼은 선제적이고 철저하게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면서 “향후 근본 개선책 마련과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품질 이슈 재발 방지에 주력해 품질에 대한 고객 신뢰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