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매 중단 부른 TRS 대출금 1조9000억
펀드 운용사 유동성 도미노 위기 막아
금융당국 “재발 땐 자금 회수 제한 검토”
증권사들이 알펜루트자산운용 외 사모펀드 운용사로부터 총수익스와프(TRS) 대출금을 회수하지 않기로 했다. 당분간 TRS발(發)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확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같은 상황이 재발하면 TRS 대출금 회수 제한과 표준계약서 마련을 포함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9일 “전날 6개 증권사와 가진 긴급 회의에서 (증권사들이) 알펜루트 외에 추가로 TRS 자금을 회수할 계획이 없다고 했다”고 밝혔다. 현재 미래에셋대우증권과 NH투자증권, KB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가 사모펀드 운용사 19곳과 TRS 계약을 맺고 총 1조 9000억원을 대출해 줬다.
TRS는 증권사가 운용사에 펀드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계약이다. 펀드의 수익과 손실은 모두 운용사의 몫이고 증권사는 짭짤한 수수료를 챙긴다. 자금력이 부족한 운용사는 대출금으로 펀드 자금 규모를 두세 배로 키워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문제는 증권사가 TRS 대출금을 갑자기 회수할 때다. 알펜루트 환매 중단 사태도 그래서 터졌다. 지난 22~23일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 등이 알펜루트에 460억원 규모의 TRS 대출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날 나머지 TRS 대출금 150억원에 대해서도 상환을 요구했다.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TRS 대출금을 돌려받지 못한 것을 감안해 위험 관리 차원에서 대출금 회수에 나선 것이다. 유동성에 문제가 생긴 알펜루트는 펀드 환매를 중단했고 개인투자자들도 제때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 시장에서는 라임 사태 이후 증권사들이 TRS 대출금을 조기에 회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다른 운용사들도 유동성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특히 TRS 계약은 증권사가 펀드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형식이어서 질권이 형성된다. 증권사가 대출금을 받을 권리가 일반 투자자가 투자금을 받을 권리보다 앞선다.
전문가들은 TRS 계약이 증권사와 운용사 간 사적 계약이지만 개인투자자의 피해를 막을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기식 전 금감원장은 “금융사는 펀드를 팔아 수수료를 챙기고 투자자들만 손실을 떠안는 구조”라면서 “정부가 사모펀드 자산운용 규제를 대폭 풀어 주면서 사후 감독 권한이 없어 대처를 잘못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 증권사들이 일반 투자자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TRS 대출금 회수에 나서면 회수 제한 방안을 비롯해 제도 개선을 검토할 것”이라며 “표준계약서를 만들어 업계 영업 관행을 바로잡고 금융투자협회를 통해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펀드 운용사 유동성 도미노 위기 막아
금융당국 “재발 땐 자금 회수 제한 검토”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9일 “전날 6개 증권사와 가진 긴급 회의에서 (증권사들이) 알펜루트 외에 추가로 TRS 자금을 회수할 계획이 없다고 했다”고 밝혔다. 현재 미래에셋대우증권과 NH투자증권, KB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가 사모펀드 운용사 19곳과 TRS 계약을 맺고 총 1조 9000억원을 대출해 줬다.
TRS는 증권사가 운용사에 펀드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계약이다. 펀드의 수익과 손실은 모두 운용사의 몫이고 증권사는 짭짤한 수수료를 챙긴다. 자금력이 부족한 운용사는 대출금으로 펀드 자금 규모를 두세 배로 키워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문제는 증권사가 TRS 대출금을 갑자기 회수할 때다. 알펜루트 환매 중단 사태도 그래서 터졌다. 지난 22~23일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 등이 알펜루트에 460억원 규모의 TRS 대출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날 나머지 TRS 대출금 150억원에 대해서도 상환을 요구했다.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TRS 대출금을 돌려받지 못한 것을 감안해 위험 관리 차원에서 대출금 회수에 나선 것이다. 유동성에 문제가 생긴 알펜루트는 펀드 환매를 중단했고 개인투자자들도 제때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 시장에서는 라임 사태 이후 증권사들이 TRS 대출금을 조기에 회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다른 운용사들도 유동성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특히 TRS 계약은 증권사가 펀드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형식이어서 질권이 형성된다. 증권사가 대출금을 받을 권리가 일반 투자자가 투자금을 받을 권리보다 앞선다.
전문가들은 TRS 계약이 증권사와 운용사 간 사적 계약이지만 개인투자자의 피해를 막을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기식 전 금감원장은 “금융사는 펀드를 팔아 수수료를 챙기고 투자자들만 손실을 떠안는 구조”라면서 “정부가 사모펀드 자산운용 규제를 대폭 풀어 주면서 사후 감독 권한이 없어 대처를 잘못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 증권사들이 일반 투자자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TRS 대출금 회수에 나서면 회수 제한 방안을 비롯해 제도 개선을 검토할 것”이라며 “표준계약서를 만들어 업계 영업 관행을 바로잡고 금융투자협회를 통해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20-01-3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