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김장훈씨께/김상연 정치부 차장

[오늘의 눈] 김장훈씨께/김상연 정치부 차장

입력 2010-02-05 00:00
업데이트 2010-02-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3·1절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 광고판에 동해 이름과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리는 동영상 광고가 펼쳐진다고 한다. 거액의 제작비는 ‘기부천사’로 통하는 가수 김장훈씨가 댔다. 앞서 지난달에는 한 교포가 로스앤젤레스의 고속도로 옆에 독도 홍보 광고판을 세웠다. 지난해엔 뉴욕 한인 관광회사의 관광버스 몸체에 독도 홍보 동영상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일생을 멸공봉사(滅公奉私)하느라 허덕지덕하는 범부(凡夫)의 눈에 김장훈씨처럼 멸사봉공(滅私奉公)하는 애국자들은 안나푸르나만큼 높고 아득한 존재다. 이들의 가슴 벅찬 쾌척(快擲)에서 그 옛날 만주벌판을 달리던 독립투사의 단호한 숨결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 취지와는 별개로 독도 광고가 과연 효과적 전략인지는 짚어봐야 할 것 같다.

뉴욕 한복판을 걷는 외국인 가운데 독도란 이름을 들어본 비율은 아마 1%도 안 될 것이다. 남의 일에 관심이 열렬할 리 없는 제3자가 독도 광고를 보면 퍼뜩 어떤 생각이 들까.

‘일본이라는 악의 축이 애꿎은 한국 땅을 빼앗으려는구나.’하고 분개할까. 그보다는 ‘두 나라가 어떤 섬을 놓고 다투고 있구나.’라고 사고하는 것이 뇌의 보편적 인지구조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본의 아니게 일본을 돕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일본 극우세력은 독도를 분쟁지역화해서 국제사법재판소까지 끌고 가는 시나리오를 최상의 전략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우리는 일본의 독도 야욕에 대한 사무치는 분노를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로 달랬다. 우리가 한국말로 된 이 가요를 부른 것은 외국인들 들으라기보다는 우리의 의지를 스스로 다지기 위한 자위(自衛)적 본능이었을 것이다.

우리가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우리 땅을 우리 땅이라고 외국에 가서 선전하는 것은 외국사람 눈에 이상하게 비쳐질 우려가 있다. 김장훈씨 등의 숭고한 애국심이 ‘전략적 마인드’라는 정치(精緻)한 조명을 받아 더욱 영롱한 빛을 발했으면 한다.

carlos@seoul.co.kr
2010-02-05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