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인간은 무엇을 남기고 떠나는가/백민경 사회2부 기자

[女談餘談]인간은 무엇을 남기고 떠나는가/백민경 사회2부 기자

입력 2010-02-06 00:00
업데이트 2010-02-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날이 며칠 남지 않았다. 일면식조차 없는 이의 부고 소식에 마음 한구석이 짠해졌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살아가며 자신의 전재산인 옥탑방 전세금 1500만원을 기부해 감동을 안겨줬던 김춘희 할머니. 평생 남을 도우며 살아왔던 그는 육신마저 다른 사람에게 주고 세상을 떠났다. ‘아낌없는 나눔’이란 이럴 때 쓰이는 말인 듯하다.
이미지 확대
백민경 사회부 기자
백민경 사회부 기자


하지만 우리는 이렇게 타인의 아름다운 장기기증 소식에 박수를 보내면서도 정작 자신의 일과는 먼 것으로 여기곤 한다. 나 역시 6년 전까지 그랬다. 내 일로 닥치기 전까지 말이다.

만성 신부전증이던 아버지가 투석마저 하기 힘들 무렵, 우리 가족들은 2년이 다 되도록 애타게 장기기증자를 기다렸다. 얼굴 없는 천사는 드라마에서나 나오는 듯했다. 쇠약해져 가는 아버지, 어두워지는 가족들. 그 절박하고 애끓는 심정을 당사자가 아니면 어찌 실감할까.

결국 엄마가 어떤 30대 남자에게 신장을 주고, 그 부인의 신장을 아버지가 받는 ‘부부교환 이식’수술을 하는 것으로 기다림은 끝이 났다. 우여곡절도 많았다. 젊은 부부는 나이 차이가 많은 우리 부모 대신 더 젊은 장기를 이식받기 위해 기증자와 교환 상대를 찾느라 1년의 시간을 끌었다. 이때의 아픈 기다림이 기억에 남아 아버지가 돌아가신 다음 해에 나도 장기기증을 신청했다.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이후 장기기증 희망자 수가 2배로 급증했다고 한다. 지난 한해 신청자만 18만여명이다.

하지만 인구 100만명당 뇌사자 장기 기증자 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3.1명으로 스페인, 미국 등 선진국의 10분의1 수준이다. 물론 가족의 동의나 개인적 신념 등을 고려할 때 기증을 강요할 수는 없지만 나도 대기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한번쯤 생각해 보길 바란다. 환자와 가족에겐 기증만이 생명이고, 삶이며, 희망이라는 점을 말이다. 어쩌면 장기기증은 인간이 타인을 위해 남기고 떠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선물’이 아닐까 싶다.

white@seoul.co.kr
2010-02-06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