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사진 기피증/나길회 국제부 기자

[女談餘談] 사진 기피증/나길회 국제부 기자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나길회 국제부 기자
나길회 국제부 기자
며칠 전 휴대전화를 바꿀까 고민하던 중 사진 보관함을 열어보게 됐다. 24장 중 사람을 찍은 것은 11장, 그것도 죄다 조카 사진이다. 그 흔한 ‘셀카’가 단 한장도 없다. 일종의 사진 기피증 때문이다.

어린 시절 사진들을 보면 제법 포즈도 잡고 나름대로 깜찍한 표정도 지어가면서 부모님의 ‘모델’ 노릇을 즐겼던 것 같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달라졌다. 특히 입사 후에는 신문 제작에 필요한 사진과 여행이나 모임에 가서 분위기에 휩쓸려 찍은 일종의 ‘기념 사진’ 정도가 전부다.

이렇다 보니 기자증은 졸업 앨범에 썼던 것을, 신문에 싣는 칼럼에는 입사 첫해 지령 2만호를 기념한 편집국장과의 좌담에 참석했을 때 찍힌 사진을 사용하고 있다. 주변 사람들은 농담 반, 진담 반 “독자들을 우롱하는 것”이라며 사진을 바꿔야 한다고 꼬집는다. 하지만 카메라 앞에만 서면 어색해지는 내 모습을 떠올리면 용기가 나질 않는다.

사실 지난해, 증명사진을 찍긴 했다. 여름 휴가를 가려고 보니 여권 만료일이 얼마 남지 않았고, 예전 사진들을 쓰기에는 여권용 사진 규정이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새 증명사진에는 다른 사진이나 거울에서 봤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내가 있었다. 대학 졸업 사진과 비교하니 정말 많이 변해 있었다. 당시에 화장과 머리에 신경을 썼다는 점을 감안해도 분위기나 느낌이 완전히 달랐다. 휴가는 가야 했기에 그 사진으로 여권은 만들었지만, 여분의 사진들은 그냥 버렸다.

그 전까지는 속된 말로 ‘뻘쭘해서’ 카메라가 싫었다면 지금은 좋게 말해 ‘냉철한’, 솔직히 말하자면 딱딱하고 인정머리 없는 표정이 보기 싫어서 카메라를 멀리하고 있다. 예쁜 얼굴이 아니라는 것을 사춘기 전에 깨달았기 때문에 새삼 외모 콤플렉스가 생긴 것은 아니다. 그래도 나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까지 신경 안 쓰인다면 거짓말이다.

결국 2010년 첫 칼럼에도 수년 전 사진을 재활용하게 됐다. 독자를 우롱하는 것을 넘어서, ‘사기 치는’ 수준에 이르기 전에 카메라 앞에 다시 설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신문을 보면서 기자 얼굴 생김새까지 신경 쓰시는 독자분들은 많지 않겠지만, 그래도 미리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

kkirina@seoul.co.kr
2010-02-13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