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아이고 다리/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아이고 다리/이순녀 논설위원

입력 2010-02-26 00:00
업데이트 2010-02-26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태평양 팔라우공화국은 필리핀과 파푸아뉴기니 사이 미크로네시아 권역에 속한 인구 2만명의 작은 섬나라다. 천혜의 자연 환경과 다양한 해양 스포츠 덕에 신혼부부를 비롯한 외국 관광객에게 휴양지로 인기가 높다. 수도인 멜레케오크와 코로르, 펠렐리우 등 340개의 섬으로 이뤄진 이 나라는 최근 기후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수몰 위기에 처해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토리비옹 팔라우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세계해양포럼에 참석해 팔라우의 위기 상황을 직접 설명하기도 했다.

팔라우의 옛수도 코로르섬(2006년 수도 이전)에는 ‘아이고 다리’가 있다. ‘아이고 힘들다.’ ‘아이고 죽겠다.’할 때의 우리말 감탄사 ‘아이고’다. 코로르와 인근 섬을 연결하는 1㎞ 길이의 다리에 한글 이름이 붙게 된 배경에는 비참하고 끔찍했던 일제 치하 한인 강제징용의 아픈 역사가 있다. 1919년 베르사유조약에 의해 미크로네시아 일대 남양군도의 위임통치를 받은 일본은 1922년 코로르에 통치기관인 남양청을 설치하고 식민 지배에 들어갔다.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한때 일본 이민자가 5만명에 이를 정도였으나 조선총독부는 부족한 노동력을 채우기 위해 한국인 노무자들을 억지로 이주시켰다. 강제징용된 한인 노무자들이 코로르 다리 건설 작업을 할 당시 너무나 고된 노동 때문에 저절로 ‘아이고’란 탄식을 내뱉었는데 현지인들이 이 말을 따서 다리 이름에 붙였다고 한다. 일제의 만행이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하고도 남을 만한 예다. 하지만 2차 대전 당시 팔라우를 비롯한 남양군도 일대에 강제징용된 한인들에 관한 자료 수집과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재미 사학자 방선주 박사가 몇년 전 남양군도에서 한국으로 귀환한 1만 1000명의 승선자 명부를 기록한 미국 태평양함대의 자료를 발굴·공개한 정도를 성과로 꼽을 만하다.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가 어제 발표한 남양군도 한인 강제징용 피해 실태조사는 그런 점에서 늦은 감은 있지만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1939~1941년 사이 최소 5000여명의 한국인 노무자들이 비행장 건설과 사탕수수 재배 등에 혹사당하다 폭력과 굶주림으로 60%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위원회는 파악했다. 일본의 남양군도 한인 강제징용에 대한 실태 규명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국내 생존자는 50명에 불과하다. 더 늦기 전에 서둘러야 한다.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0-02-2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