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한국의 앨리스를 기대하며/이은주 문화부 기자

[女談餘談] 한국의 앨리스를 기대하며/이은주 문화부 기자

입력 2010-03-20 00:00
업데이트 2010-03-2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 철저한 A형 사회야. 현실에 잘 순응하는 A형이 자기 주장이 뚜렷한 B형에 비해 훨씬 살기가 편하거든.” 어느 날 친구의 뜬금없는 한마디에 논쟁이 불붙었다. 그 자리에서 혈액형으로 삶의 유형을 규정짓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지만, 이내 여러가지 단상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이미지 확대
이은주 문화부 기자
이은주 문화부 기자
기자 초년병 시절, 시내 한 극장에서 시사회가 끝난 뒤 마련된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가 놀란 기억이 있다. 주연 배우들이 입장하고, 간담회가 시작됐지만 누구도 먼저 질문을 하는 이가 없었다. 한동안 깨지지 않던 그 침묵은 마치 수업시간에 발표할 사람을 찾는 선생님의 요청에 아무도 손을 들지 않는 그 순간과 흡사했다.

물론 최근 드라마나 영화 제작발표회의 상황은 많이 나아졌지만, 초·중·고등학교 때까지 계속된 주입식 교육의 여파가 꽤 오래간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수업시간에 튀거나 다른 대답을 하는 학생을 용인하지 않는 한국의 획일화된 교육은 자기 생각을 펼치기보다 수업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는 조용한 학생을 원했고, 그 습성이 고스란히 사회로 이어진 것 아닐까.

2010년 최대 화두인 3D와 아이폰을 언급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창의력을 말한다. 한국도 선진국 대열에 올라서려면 더 이상 모방이 아닌 새로움을 창조하는 국가로 한 단계 도약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창의력이라는 것은 더 이상 주입식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유연한 사고와 다양한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삶의 여유와 관용이 각 조직과 사회에 퍼질 때 비로소 가능해지는 것이다. 3D나 아이폰은 풍부한 상상력에 정교한 기술력이 더해진 합작품이다.

한국인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 두뇌와 기술을 갖고 있다. 이제 구성원 모두에게 똑같은 삶을 강요하는 경직된 사회 분위기만 바뀌면 된다.

요즘 유행하는 팀 버턴 감독의 3D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주인공 앨리스는 “나는 하루에 여섯 번씩 불가능한 상상을 한다.”고 말한다. 한국에서 수많은 ‘앨리스’들이 자유로운 상상력을 맘껏 펼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erin@seoul.co.kr
2010-03-20 2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