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민귀군경(民貴君輕)/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민귀군경(民貴君輕)/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11-01-03 00:00
업데이트 2011-01-0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人乃天). 천도교 교리쯤으로 알려졌지만, 이 땅에서 오랫동안 혁혁했던 사람 존중의 보편 정신이다. 민간은 물론 ‘하늘 아래 1인자’라는 통치인도 무시할 수 없었던 사상. 인간은 평등하기 때문에 인간 사이에는 귀하고 천함의 차이가 없다는 논리다. 그래서 사람을 대할 때는 하늘처럼 여겨야 한다는 ‘사인여천’(事人如天)은 천도교에선 실천요강으로까지 숭앙된다.

인내천과 사인여천이 정치와 통치의 영역으로 편입될 때 ‘민본’이란 주의로 되살아난다. 양의 동서와 시대의 고금을 막론하고 민본의 중시는 피할 수 없는 통치의 방향이었다. 고래로 많은 나라에서 백성은 물론 통치자를 배에 비유한 것도 민본 가치의 보편적 공유일 것이다. 물론 그 비유에는 전복의 뉘앙스가 스며 있다.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뒤집을 수도 있다는…. 민본을 거스르는 통치의 비극적 결말 말이다.

성선설의 대가 맹자는 민본에 천착해 살았던 주유천하의 철학자다. 가는 곳마다 민본의 통치를 되뇌었던 유학자. 덕으로 어짊(仁)을 행하라는 왕도정치의 바탕도 민본이다. 유교의 으뜸 덕목인 인(仁)에 의(義)의 개념을 붙인 ‘인의’를 정치에 접목한 게 바로 왕도정치란다. ‘인은 사람이 거해야 할 편안한 집이요, 의는 사람이 걸어야 할 바른 길’이다. 그가 남긴 그 민본의 정신은 맹자 ‘진심’편 민귀군경(民貴君輕)에 생생하게 살아 있다.

교수신문이 새해 신묘년의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민귀군경’을 뽑았다. ‘백성이 귀하고 사직이 다음이고 임금은 가볍다’(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 절대 권력의 군주제 시대에서도 백성이 중함을 대놓고 부르짖은 왕도론의 요체. ‘두려워할 만한 것은 백성이 아닌가.’라고 한 전설적 성군(聖君) 순(舜)임금을 떠올리게 한다. 전국 대학교수 212명 중 39%가 택했다는 게 하필 민귀군경일까. 새해벽두의 희망 섞인 성어보다는 통치권을 향한 무거운 주문쯤으로 다가온다.

어진 마음으로 민생고를 해결하는 왕도정치론, 백성을 두려워하라는 순임금의 고언이 먼 고대에만 통한 걸까. “관권이 민권 위에 군림하고 힘센 자가 힘없는 자를 핍박하는 사태가 심화되고 있다.”는 교수신문의 ‘민귀군경’ 선정 이유. ‘한마음을 가지면 큰 의미의 대화합을 이룰 수 있다.’는 보합대화(保合大和)가 2위의 사자성어로 꼽혔다는데. 보합대화의 희망도 백성을 두려워하는 민본이 먼저 서야 하지 않을까.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1-01-03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