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호롱불/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호롱불/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1-06-09 00:00
업데이트 2011-06-09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형설지공(螢雪之功). 중국 진나라 손강은 집이 가난해 기름을 살 돈이 없었다. 그래서 눈(雪) 빛에 책을 비춰 글을 읽었다. 어사대부 벼슬까지 올랐다. 역시 진나라 차윤은 기름을 구할 수가 없어 여름이면 수십 마리의 반딧불을 주머니에 담아 그 빛으로 밤을 새우며 책을 읽었다. 이부상서가 되었다. 이 고사를 토대로 어려운 처지에서 공부하는 것을 ‘형설지공’ 또는 ‘형설’이라고 한다. 공부하는 서재를 형창설안(螢窓雪案)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명필 한석봉. 그의 어머니 글닦기는 유명하다. 한석봉은 문전박대 소동 끝에 8년을 공부한 뒤에 어머니를 다시 찾는다. 어머니는 밤중인데도 호롱불(촛불로도 표현)을 끈 채 떡을 썰고, 석봉은 ‘자당임문안’(慈堂任問安)이라는 글을 쓰게 한다. 불을 밝히자 어머기가 썬 떡은 모양이 일정한데 석봉의 필체는 균형이 맞지 않자, ‘명백하게 서투르니 나머지 2년을 마치고 오라.’고 했다. 호롱불과 연결되어 전해지는 전설 같은 얘기다.

호롱불 전설은 참으로 많다. ‘호롱불 아래 천년의 이야기-역사 속으로 떠나는 여행’은 작가로부터 우리 역사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다. 4년 전인 2007년부터 매년 열렸다. 종묘와 가묘의 차이점 등 다양한 주제로 스토리텔링이 펼쳐졌었다. 전문가들이 역사 속으로 떠나는 여행의 안내자가 됐다. 지난해 5월 28일부터 6월 25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30분 종묘 향대청에서 진행됐다.

강원 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첩첩산중의 ‘깊은 터’ 마을. 5가구 10여명의 주민이 살지만 전기가 들어오지 않다가 지난달에야 전기가 들어왔다. 주민들은 전기가 들어오기 전 호롱불과 양초로 어둠을 밝혔다. 일주일에 한두 번, 2시간가량은 발전기를 돌렸지만 보일러를 가동시키거나 세탁기를 돌려 미뤄둔 빨래를 하면 금세 닳았다. 도시 사람들이 일상으로 사용하는 냉장고나 TV, 컴퓨터는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했다. 저녁밥을 지어먹고 저녁 9시면 잠자리에 들었다. 그게 끝이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이 마을처럼 전국적으로 221가구가 아직도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강원도가 129가구로 60%가량을 차지하고, 경북 37가구, 경남이 24가구로 뒤를 잇는다. 지역 특성상 산지나 도서, 벽지에 한두 집씩 띄엄띄엄 있는 가구들은 전기를 공급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농촌의 특별 전기 공급이 아직도 특혜가 되나 보다. 1996년 가을에야 고향마을에 전기가 들어왔던 충격이 새롭다. 전기 혜택은 아직도 꿈이자, 추억이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1-06-09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