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평창올림픽 성공을 위하여/안동규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 재정위원장·한림대 교수

[시론] 평창올림픽 성공을 위하여/안동규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 재정위원장·한림대 교수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안동규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 재정위원장·한림대 교수
안동규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 재정위원장·한림대 교수
온국민이 염원하던 2018동계올림픽의 개최 도시가 올림픽 도전 삼수 끝에 평창으로 확정됐다. 압도적인 표차로 세계를 놀라게 한 평창의 쾌거는 평창·강릉·정선 세 개최 도시의 승리이자, 강원도의 승리요, 대한민국의 승리다. 하지만 마냥 기뻐하고 있을 일은 아니다. 유치전에서 올림픽 개최 도시가 된 것은 일차적 목표의 달성에 불과하다. 평창올림픽의 궁극적 목표는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다. 대학입시에서 수석으로 입학한 학생에게 더 중요한 과제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으로 졸업을 하는 것이듯 평창의 당면 과제는 이제 시작인 것이다.

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꼭 짚어 보아야 할 세 가지 큰 요소는 목표, 조직, 그리고 사람이다.

우선 평창올림픽의 목표를 보자.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지난 1월 제출한 유치 신청서에는 평창의 계획과 약속들,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이 17개 분야별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개최 도시 확정과 함께 IOC와 서명한 계약서는 평창이 앞으로 지켜야 할 올림픽 관련 모든 계약들을 망라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루어야 할 목표들이다.

첫째는 흑자를 만들어 내고 최대의 경제효과를 이룩해 내는 경제올림픽을 창출해야 한다. 올림픽의 흑자와 적자를 계산하는 것 자체부터 어려운 개념이다. 1조 760억원의 운영예산은 균형예산을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약 7조원에 이르는 비조직위 예산은 대부분 고정투자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하여 최대의 이익을 내야 한다. 둘째 목표는 지속가능한 올림픽이다. 2018년을 넘어서 다음 세기까지도 활용되고, 영원한 유산으로 남길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을 담아야 한다. 셋째 목표는 환경올림픽이다. 강원도는 환경을 먹고사는 곳이다. 관광 일번지 강원도의 가치는 환경이다. 평창올림픽이 환경올림픽이 되어야만 하는 이유다. 세계적인 이슈인 환경과 지구온난화의 이슈들을 아우르는 올림픽을 창조하여햐 한다. 또한 남북문제를 해결하는 평화 올림픽, 아시아의 동계올림픽 확산을 위한 올림픽 등이 우리가 이룩해야 할 과제다. 올림픽의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인식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그 다음 문제는 올림픽의 조직과 사람이다.

앞으로 3개월 안에 평창은 조직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성공한 올림픽과 실패한 올림픽의 교훈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나가노와 밴쿠버는 적자 올림픽의 사례로, 로스앤젤레스와 릴레함메르는 흑자 올림픽으로 구분되는 이유는 올림픽의 경제성을 특히 중시했기 때문이다. 올림픽의 성공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과 조직이다. 2018년에 올림픽을 치르기 위해서는 조직위에 1000여명이 일해야 하고, 자원봉사자가 2만명 그리고 안전요원도 2만 4000명이 필요하다. 지금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위원장과 조직위 구성을 포함한 조직이다. 강원도, 대한민국 정부, 체육회, 전문가 그룹들을 포함, 최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창출하는 창조적인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올림픽은 과학이자 예술이다. 과학적 올림픽의 성공은 전문성과 기획력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것은 올림픽 조직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달려 있다. 예술적 올림픽의 성공은 창조성과 혁신성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것은 올림픽과 관련된 사람들의 몫이다. 어떤 사람이 조직위원장이 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정치적인 인사와 정치적인 몫으로 조직이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대통령을 포함한 온 국민의 유치 열기와 지지 때문에 평창은 마침내 올림픽을 유치했다.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올림픽 사랑과 관심이다. 하계 종목보다 동계올림픽 종목이 더 인기가 많고, 동계 종목 중에서도 쇼트트랙과 피겨 등 빙상이 중심인 대한민국 동계스포츠의 현 주소를 바꾸어야 한다. 스포츠 꿈나무를 키우고 국민들이 직접 동계스포츠를 즐겨야 가능하다. 이 모두가 사람들의 몫이다. 2018 평창올림픽의 성공은 사람의 몫이고 우리의 몫이다.
2011-07-12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